- 단위테스트의 개념 및 필요성
- 좋은 단위 테스트의 특징
- TDD 개념 및 절차
- 기본 방식과의 차이점
- TDD의 장점과 단점
1. 단위테스트의 개념 및 필요성
1. 단위테스트의 개념
- 하나의 모듈을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진행되는 가장 작은 단위의 테스트
(모듈 : 애플리케이션에서 작동하는 하나의 기능 또는 메소드)
- TDD에서 말하는 테스트가 단위테스트
→ 통합테스트
1. 모듈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모듈 간의 호환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는 테스트
2. 통합된 모듈이 올바르게 연계되어 동작하는지 검증하기 위한 테스트
2. 단위 테스트의 필요성
- 통합 테스트를 위해서는 캐시나 DB 등 다른 컴포넌트와 실제 연결이 필요 → 비용(시간)이 상당히 커짐
- 단위 테스트는 해당 부분만 독립적으로 테스트하기 때문에 리팩토링시 빠르게 문제 확인 가능
→ 단위 테스트는 수시로 빠르게 돌리면서 문제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2. 좋은 단위 테스트의 특징(FIRST규칙)
1. FAST
2. INDEPENDENT
- 좋은 단위 테스트는 테스트하고자 하는 단위 기능에 집중해야 한다.
3. REPEATABLE
- 좋은 단위 테스트는 반복적으로 수행하더라도 항상 같은 결과를 반환해야 한다.
4. Self-Validating
- 좋은 단위 테스트는 기대하는 결과가 무엇인지 단언(assert)해야 한다.
- System.out.println과 log.info를 이용하는 것이 아닌 Junit에서 재공하는 assert와 같은 검증 코드를 이용
5. Timely
- 좋은 단위 테스트는 미루지 않고 즉시 작성해야 한다.
3. TDD의 개념 및 절차
1. TDD의 개념
- Test-Driven Development = 테스트 주도 개발
- 반복 테스트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방법론으로 작은 단위의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고 이를 통과하는 코드를 추가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구현한다.
2. TDD 절차

-
RED 단계
: 실패하는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
-
GREEN 단계
: 테스트 코드를 성공시키기 위한 실제 코드를 작성
-
REFACTOR 단계
: 중복 코드 제거, 일반화 등의 리팩토링을 수행
4. 기존 방식과의 차이점
1. 기존 방식

- 재설계로 인해 개발자는 코드를 삽입, 수정, 삭제 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코드가 남거나 중복처리 될 가능성이 있다.
- 코드들의 재사용이 어렵고 관리가 어려워져 유지보수를 어렵게 만든다.
2. TDD 개발 방식

-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예외 사항(버그, 수정사항)들을 테스트 케이스에 추가하고 설계를 개선한다.
- 테스트가 통과된 코드만을 코드 개발 단계에서 실제 코드로 작성
- 이러한 반복적인 단계가 진행되면서 자연스럽게 코드의 버그가 줄어들고 소스코드는 간결해짐
5. TDD의 장점과 단점
1. 장점
- 보다 튼튼한 객체 지향적인 코드 생산
- 재설계 시간의 단축
- 디버깅 시간의 단축
- 테스트 문서의 대체 가능
- 추가 구현의 용이함
2. 단점
- 생산성이 저하될 수도 있음
- TDD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와 대비하여 초기 비용 발생
- 팀이 테스트코드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 테스트코드에 집중할 수 없다.
이 글은 아래의 사이트 내용을 참고하였습니다.
→ https://wooaoe.tistory.com/33
→ https://mangkyu.tistory.com/182
→ https://mangkyu.tistory.com/143
→ https://media.fastcampus.co.kr/knowledge/dev/tdd/
→ https://velog.io/@sdb016/%EC%A2%8B%EC%9D%80-%EB%8B%A8%EC%9C%84-%ED%85%8C%EC%8A%A4%ED%8A%B8-FIRST%EC%97%90-%EB%8C%80%ED%95%98%EC%97%AC
→ https://yuricoding.tistory.com/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