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s_공단자료 구성

김미주·2022년 11월 19일
0

sas studio

목록 보기
2/3

자료1_국민 건강보험자료

자격 및 보험료 DB

  • 사람들의 일반적인 정보 (성별, 연령, 거주지 등)
  • 자격 : 돈을 내야되는 의무를 가진 사람들 (피보험자)

출생 및 사망 DB

-

  • 자격 db랑 개인 고유번호 (RN_INDI) 기준으로 연결
  • 코호트 자료의 특성을 가지고 있음(병원을 방문한 후 계속 follow up)
  • 사망은 년/월 까지만 주므로 임의로 특정 일을 추가해서 조사하기

T20

  • 요양기관(병원, 약국 등)을 갔을 때 받는 명세서
  • 내가 요양기관을 방문했을 때 생기는 한줄짜리 코드
  • 상병코드(어떤 질병), 요양일수(입원 시), 총금액, 날짜, 지원금액, 병원에서 받는 금액

**위 세개만 연결해도 데이터 분석 사용 가능-개인 고유번호로 연결가능(RN_INDI)

T30

  • 진료행위, 의약품, 치료재료, 상세 금액(건별로_약물, 행동)을 볼 때 사용
  • t20 에서 한 줄로 나온 것에 대해 여러 줄로 상세 설명
  • t20-t30 붙이면 1:n의 구조 - 청구고유번호(RN_KEY)로 연결
  • 가장 중요한 변수 : MCAREDIV_CO (분류코드) 어떤 행위를 했는지
    예를들어 MRI를 찍었으면 그걸 코드로 넣는데 그 코드가 들어있음 따라서 여기서 조건을 걸면 약이나 치료 행위로 다 구분 가능
  • TOT_MCNT : 총 투여일수
  • TIMEI_MDCT_CPCT : 한번 먹을 때 몇 알 먹는지(약)
  • UPRC : 금액

**위 세개 먼저 연결한 뒤 20-30 연결하기

T40

  • 안중요 (상병내역)
  • 모든 상병을 관리하는 자료인데 T20에 이미 들어있음
  • 주상병(환자가 병원에 온 주 목적), 부상병(이 질병에 관련있는 질병들), 삼상병(이 질환과 관계없는 질병들)
  • 결국 쓰는건 주상병, 부상병 (의사가 진단)
  • 그냥 샘플 수 늘릴려고 써놓은 자료들

T60

  • 30이랑 구조가 똑같음
  • 병원을 갔을 때 병원안에서 한 행동들은 30에 있음
  • 약국에서 무언가를 했을 때도 30에 쌓임(실제로 돈을 낸 것)
  • 병원에서 약국에서 약 떼라고 처방전 주면 쌓이는 것
  • 내가 샀는지 안 샀는지는 기입되지 않음
  • 거의 다 약물에 관련된 것
  • 단가는 처방전으로 쓰면 안 됨 : 적혀있는 금액은 30에서부터 예측한 것
  • 약물만 표현하는 코드만 있음
  • GNL_NM_CD : 30에서의 정보와 위아래로 붙일 수 있음
  • 처방받은 사람들만 보는 것

건강검진 DB

  • 개인적인 공변량이 없다
  • 샘플수가 거의 없다, 65세 이상은 매년 받기 때문에 써도 무방하지만 젊은 층을 표현하려면 쓰는건 조금 고려하기
  • 개인고유번호를 기준으로 연결
  • 자격으로만 연결하기
  • 2009년에 건강검진 구성이 바껴서 데이터 구조가 다름 -> 둘 다 있는 변수로 쓰기

요양기관 DB

  • 요양기관고유번호 RN_INST로 구분가능
  • 년도별로 짜르기

이 순서대로 쓰기 - 사람으로 시작해서 그 사람이 받았던 치료들이 정리가 된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