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_시리얼 번호_1431, 백준_먹을 것인가 먹힐 것인가_7795

Minji Lee·2025년 1월 5일
0

JS코딩테스트

목록 보기
99/122

시리얼 번호

문제

다솜이는 기타를 많이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각각의 기타는 모두 다른 시리얼 번호를 가지고 있다. 다솜이는 기타를 빨리 찾아서 빨리 사람들에게 연주해주기 위해서 기타를 시리얼 번호 순서대로 정렬하고자 한다.

모든 시리얼 번호는 알파벳 대문자 (A-Z)와 숫자 (0-9)로 이루어져 있다.

시리얼번호 A가 시리얼번호 B의 앞에 오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A와 B의 길이가 다르면, 짧은 것이 먼저 온다.
  2. 만약 서로 길이가 같다면, A의 모든 자리수의 합과 B의 모든 자리수의 합을 비교해서 작은 합을 가지는 것이 먼저온다. (숫자인 것만 더한다)
  3. 만약 1,2번 둘 조건으로도 비교할 수 없으면, 사전순으로 비교한다. 숫자가 알파벳보다 사전순으로 작다.

시리얼이 주어졌을 때, 정렬해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기타의 개수 N이 주어진다. N은 50보다 작거나 같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시리얼 번호가 하나씩 주어진다. 시리얼 번호의 길이는 최대 50이고, 알파벳 대문자 또는 숫자로만 이루어져 있다. 시리얼 번호는 중복되지 않는다.

출력

첫째 줄부터 차례대로 N개의 줄에 한줄에 하나씩 시리얼 번호를 정렬한 결과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5
ABCD
145C
A
A910
Z321

예제 출력

A
ABCD
Z321
145C
A910

Code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n');

const N = +input[0]; // 기타의 개수
let guitars = [];
for (let i = 1; i <= N; i += 1) guitars.push(input[i]);

// 자릿수의 합 구하는 함수
const totalSum = (serialNum) => {
  const sum = serialNum.split('').reduce((acc, cur) => {
    if (Number(cur)) acc += Number(cur);
    return acc;
  }, 0);
  return sum;
};

guitars.sort((a, b) => {
  // 1. 시리얼 번호 길이 오름차순 정렬
  if (a.length > b.length) return 1;
  else if (a.length < b.length) return -1;
  // 2. 각 시리얼 번호 자릿수의 합 기준 오름차순 정렬
  else if (totalSum(a) > totalSum(b)) return 1;
  else if (totalSum(a) < totalSum(b)) return -1;
  // 3. 사전순으로 오름차순 정렬
  else if (a > b) return 1;
  else return -1;
});

guitars = guitars.join('\n');
console.log(guitars);

풀이 및 해설

  • 기타 시리얼 번호 정렬하기
    1. 시리얼 번호 길이 작은 순으로
    2. 시리얼 번호 숫자 자리수의 합 작은 순으로
    3. 사전 순으로

먹을 것인가 먹힐 것인가

문제

심해에는 두 종류의 생명체 A와 B가 존재한다. A는 B를 먹는다. A는 자기보다 크기가 작은 먹이만 먹을 수 있다. 예를 들어, A의 크기가 {8, 1, 7, 3, 1}이고, B의 크기가 {3, 6, 1}인 경우에 A가 B를 먹을 수 있는 쌍의 개수는 7가지가 있다. 8-3, 8-6, 8-1, 7-3, 7-6, 7-1, 3-1.

두 생명체 A와 B의 크기가 주어졌을 때, A의 크기가 B보다 큰 쌍이 몇 개나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A의 수 N과 B의 수 M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A의 크기가 모두 주어지며, 셋째 줄에는 B의 크기가 모두 주어진다. 크기는 양의 정수이다. (1 ≤ N, M ≤ 20,000)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A가 B보다 큰 쌍의 개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2
5 3
8 1 7 3 1
3 6 1
3 4
2 13 7
103 11 290 215

예제 출력

7
1

Code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n');

let T = +input[0]; // 테스트 케이스 개수
let line = 1;

while (T > 0) {
  const [N, M] = input[line].split(' ').map(Number);
  const A = input[line + 1].split(' ').map(Number);
  const B = input[line + 2]
    .split(' ')
    .map(Number)
    .sort((a, b) => a - b); // B 그룹 오름차순 정렬

  let answer = 0;

  A.forEach((a) => {
    let target = B.length - 1;
    while (target > -1) {
      if (a > B[target]) break;
      else target -= 1;
    }
    answer += target + 1;
  });

  console.log(answer);
  line += 3;
  T -= 1;
}

풀이 및 해설

  • A의 크기가 B보다 큰 쌍의 개수 구하기
  • B를 오름차순 정렬 후 맨 뒤부터 확인
    • 잡아먹을 수 없다면 target을 1씩 감소
    • target이 0보다 클때까지만 반복
    • target에서 0 뺀 값 더하기

이분탐색으로 풀기!

  1. left는 0, right는 M으로 시작
  2. mid 값을 구해 A의 요소가 B의 mid보다 클 경우 left를 mid로 이동하여 오른쪽만 탐색
  3. mid보다 작을 경우 right를 mid로 옮겨 왼쪽만 탐색
  4. 위와 같이 이분 탐색 이용하여 left값 더해주기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n');

let T = +input[0]; // 테스트 케이스 개수
let line = 1;

while (T > 0) {
  const [N, M] = input[line].split(' ').map(Number);
  const A = input[line + 1].split(' ').map(Number);
  const B = input[line + 2]
    .split(' ')
    .map(Number)
    .sort((a, b) => a - b); // B 그룹 오름차순 정렬

  let answer = 0;

  // 이분 탐색
  A.forEach((a) => {
    let [left, right] = [0, M];
    while (left < right) {
      const mid = parseInt((left + right) / 2);
      if (a > B[mid]) left = mid + 1;
      else right = mid;
    }
    answer += left;
  });

  console.log(answer);
  line += 3;
  T -= 1;
}

이분탐색으로 풀이하면 시간이 약 1/3 단축됨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