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현이는 일년의 날짜가 1일부터 365일로 표시되어있는 달력을 가지고있다. 수현이는 너무나도 계획적인 사람이라 올 해 일정을 모두 계획해서 달력에 표시해놨다.
여름이 거의 끝나가자 장마가 시작되었고, 습기로 인해 달력에 표시한 일정이 지워지려고 한다. 지워지는 것을 막고자 수현이는 일정이 있는 곳에만 코팅지를 달력에 붙이려고 한다. 하지만 너무 귀찮았던 나머지,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르기로 한다.
달력은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른다.
위의 그림에서와 같이 일정이 주어졌다고 하자. 여기서 코팅지의 면적은 아래의 파란색 영역과 같다.
이때 코팅지의 크기의 합은 3 x 8 + 2 x 2 = 28이다.
일정의 개수와 각 일정의 시작날짜, 종료날짜가 주어질 때 수현이가 자르는 코팅지의 면적을 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일정의 개수 N이 주어진다. (1 ≤ N ≤ 1000)
둘째 줄부터 일정의 개수만큼 시작 날짜 S와 종료 날짜 E가 주어진다. (1 ≤ S ≤ E ≤ 365)
출력
코팅지의 면적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7
2 4
4 5
5 6
5 7
7 9
11 12
12 12
예제 출력 1
28
예제 입력 2
5
1 9
8 9
4 6
3 4
2 5
예제 출력 2
36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n');
const N = +input[0]; // 일정의 개수
let maxDate = Number.MIN_SAFE_INTEGER; // 마지막 일정이 있는 날짜
let dates = [];
for (let i = 1; i <= N; i += 1) {
const [S, E] = input[i].split(' ').map(Number);
dates.push([S, E]);
maxDate = Math.max(maxDate, E);
}
const culmulativeDate = Array.from({ length: maxDate + 1 }, () => 0); // 일정별 합 계산
dates.forEach((date) => {
for (let day = date[0]; day <= date[1]; day += 1) culmulativeDate[day] += 1;
});
let answer = 0;
let width = 0; // 연속된 일정별 가로
let height = 0; // 연속된 일정별 세로
for (let i = 1; i < culmulativeDate.length; i += 1) {
if (culmulativeDate[i] === 0) {
answer += width * height; // 연속된 일정이 하나 나왔으므로 가로*세로를 정답에 더하기
// 가로, 세로 다시 0으로 초기화
width = 0;
height = 0;
continue;
}
width += 1; // 가로 늘리기
height = Math.max(height, culmulativeDate[i]); // 세로는 연속된 일정들의 합 중 최댓값으로
}
answer += width * height;
console.log(answer);
[조건]
[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