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의 제목, 문단, 표, 이미지, 동영상 등 웹의 구조를 담당💡 하이퍼텍스트(Hyper Text)참조를 통해 현재 문서(페이지)에서 다른 문서로 즉시 접근(이동)할 수 있는 텍스트 → 링크 버튼을 의미실제 화면에 표시되는 방법(색상, 크기, 폰트, 레이아웃 등)을
html파일은 root경로에 두기!(파일로 따로 관리하지 말기)css, js, image는 파일로 따로 관리하는게 좋음<img src="이미지 경로" alt="이미지 설명" />alt는 이미지가 출력되지 않을 경우 나오는 설명을 의미./ 주변에서 찾음(생략 가능)
HTML은 구조를 만드는 역할주석: <!— Comment —> 수정사항이나 설명 등을 작성(주석) → cmd+/<태그>내용</태그>ex) <h1>Hello HTML~</h1>시작 태그와 종료 태그 사이에 내용 입력종료 태그 앞에는 / 붙여야함
주석: /\* 설명 작성 \*/ 수정사항이나 설명 등을 작성(주석) → cmd+/HTML 파일 내부에 <style></style>의 내용으로 스타일을 작성하는 방식→ HTML파일과 CSS파일 분리하는 것이 더 좋음(유지보수가 더 좋음)요소의 style속성에
auto: 브라우저가 너비를 계산 → 요소에 이미 들어있는 속성의 값(기본값)단위: px, em, vw 등 단위로 지정none: 최대 너비 제한 없음단위: px, em, vw 등 단위로 지정0: 최소 너비 제한 없음단위: px, em, vw 등 단위로 지정부모가 가지고
dash-case(kebab-case): 단어 사이사이에 dash(-)를 넣음 → HTML, CSS 주로 사용ex)the-quick-brown-fox-jumpssnake_case: 단어 사이에 \_를 넣음 → HTML, CSS 주로 사용ex) the_quick_brow
개행문자(Newline) 설정 → 개행문자: 특정한 문장 입력 후 처리하는 방식(줄바꿈)운영체제마다 개행문자를 처리하는 방식이 다름프로젝트를 여러 컴퓨터에서 사용하기 위해 자동화하여 문제가 없도록 함autocrlf: 운영체제마다 자동으로 개행문자 변환config: 구
문법이 쉽고 간결하다관리가 쉽다지원 가능한 플랫폼과 프로그램이 다양하다표준이 없다모든 HTML 마크업을 대신하지 못한다숫자가 작을수록 더 중요한 의미2번 띄어쓰기안먹히면 br태그 사용이름(url)\`\`\` 사용업로드중..기본은 왼쪽 정렬:--: → 가운데 정렬\-: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응용프로그램을 더 쉽게 만들고 배포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도구→ 컨테이너 기반의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서버에서의 컨테이너: 다양한 프로그램, 실행환경을 컨테이너로 추상화하여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프로그램 배포 및 관리를 단순하게 해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