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한 구현, 작동 원리 등은 감춰져 있는 상태로 입력만 제대로 지킨다면 해당 기능을 쓸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 또는 시스템사용자가 이 기능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는 알 필요가 없음.컴퓨터와 컴퓨터가 어떻게 서로 대화할 것인지(데이터를 주고 받을 것인지)를 약속한 것을 프
물리 계층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고 유무선 전송으로 목적지까지 아날로그 신호를 전달한다.목적지에선 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다시 디지털 신호로 바꾼다.데이터 링크 계층은 같은 네트워크에서 목적지를 구분하는 계층이다.MAC 주소를 이용해 연결된 컴퓨터를 구분한
물리 계층에서는 데이터를 물리적인 신호로 바꿔서 전달하는 역할만 했다면,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기기에 MAC주소를 부여해 원하는 기기에만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프로토콜은 이더넷이다.초기 이더넷은 동축 케이블을
DNS에 대해 알아보며 이해하는 시간을 갖는다.DNS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봅시다.DNS는 Domain Name System입니다. 실제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IPv4는 8비트로 이루어진 옥텟 네 자리로 이루어진 숫자들의 조합입니다.예를 들면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