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센터(가용 영역)의 집합입니다.
aws 서비스들을 사용할 때 대부분의 서비스들은 특정 리전에 연결된 상태(국한되어)로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리전1에서 어떤 서비스를 사용하다가 리전2에서 사용하던 서비스를 사용하려고 하면
리전2에서 해당 서비스를 사용한 적이 없다는 가정 하에 서비스를 처음 사용하는 것처럼 됩니다.
region 선택 조건
가용 영역이라고 부릅니다.
각 리전 내에 존재하며 적게는 두 개, 많게는 여섯 개까지 존재하지만 보통 세 개씩 있습니다.
가용 영역은 하나 혹은 두 개 이상의 분산 데이터 센터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 가용 영역들이 만일의 사태(데이터 센터 화재 등)를 대비해 분리되어 있습니다.
a 가용 영역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b, c 가용 영역에는 영향이 가지 않는 것입니다.
각 가용 영역들은 높은 대역폭의 낮은 latency를 가진 네터워크로 연결되어 리전을 이루게 됩니다.
전송 지점입니다.
AWS는 42개국 84개의 도시에 200가 넘는 전송 지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들에게 낮은 지연 시간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데 매우 유용합니다.
앞에서도 설명했듯이 AWS에서 global로 모든 리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들이 있고,
특정 리전에 국한되어 사용하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aws 콘솔에서 리전 선택이 가능하고, 특정 서비스를 검색해 들어갔을 때 우측 상단 리전을 고를 수 있는 navbar를 살펴봤을 때,
global로 표시되면 전 세계 모든 리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라는 뜻입니다.
대표적으로 IAM, Route53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특정 리전에 국한되어 사용하는 서비스가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EC2를 들 수 있겠습니다.
EC2 서비스로 화면일 이동하면 리전 선택이 가능한 navbar에 리전이 선택되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리전별로 제공되는 서비스로, Seoul에서 EC2를 생성해서 사용하고 있다가, Singapore 리전으로 이동하면, Seoul 리전에서 생성한 EC2는 볼 수 없습니다.
https://aws.amazon.com/ko/about-aws/global-infrastructure/regional-product-services/
해당 링크로 이동하면 aws에서 리전 별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