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nsik'
"pansik"
`pansik` //보간 ${}
const a = 'world'
const b = 'hello'
console.log(a) // 'world'
console.log(b) // 'hello'
console.log(`${b} ${a}!`) // 'hello world!'
23.23 (실수)
23 (정수)
-23 (음의 정수)
NaN (not a number)
const a = true
console.log(foo) // true
const b = false
console.log(b) // false
let foo;
console.log(foo) // undefined
let key = Symbol('key')
console.log(typeof key) // symbol
const symbol1 = Symbol('id')
const symbol2 = Symbol('id')
console.log( symbol1 === symbol2 ) // false
const s = SymBol('Hello world!') // 설명
const user = {
name: 'Kimchaewook',
[s]: 25
}
console.log(user.name)
console.log(user[s])
const bigInt = 12345678901234567890123n
console.log(`value: ${bigInt}, type: ${bigInt}) //
Array (배열 데이터)
let fruits = ['Apple', 'Banana', 'Cherry'];
console.log(fruits[0]); // Apple
console.log(fruits[1]); // Banana
console.log(fruits[2]); // Cherry
Object (객체 데이터)
let user = {
name: 'apple',
age: 450,
isValid: true
}
console.log(user.name); // 'apple'
console.log(user.age); // 450
console.log(user.isValid); // true
함수 function
split : 문자를 인수 기준으로 쪼개서 배열로 반환
reverse : 배열을 뒤집기.
join : 배열을 인수 기준으로 문자로 병합해 반환.
const b = a.split ('').reverse().join(''); // 메소드 체이닝
명시적인 변환과 암묵적인 변환이있다
명시적인 Number(들어갈 데이터) 와 String(들어갈 데이터)
암묵적인 변환 +"1"붙혀주면 숫자로 바뀐다
const a = 1
const b = '1'
console.log(a === b)
// 일치 연산자: 데이터 형 까지 보는 것 false
console.log(a == b)
// 동등 연산자: 값만 보는 것 true
특정 값은 true를 나타내고 어떤 값은 false를 나타낸다
아래 Falsy제외한 나머지는 true값이다.
if (false)
if (null)
if (undefined)
if (0)
if (-0)
if (NaN)
if (0n)
if ('') // 공백 문자
typeof 데이터
데이터.constructor
Object.prototype.toString.call(데이터)
window
)의 속성으로 등록
자바스크립트 망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