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 [특정 디렉토리 이동]
Change Directory의 약자로써
디렉토리를 변경한다는 의미입니다.
cd documents/dev를 입력하게 되면
현재 위치가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하게 됩니다.
ex) cd documents/dev
cd .. [상위 디렉토리 이동]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을 합니다.
현재 위치가 documents/dev 라고 가정했을 경우
cd .. 을 입력하게 되면 documents로 이동하게 됩니다.
ls
list의 약자로 현재 디렉토리 내용을 확인을 하고 싶을 때 쓰는 명령어입니다.
폴더 및 파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ls -a : 숨겨져 있는 모든 파일 및 폴더를 볼 수 있습니다.
pwd
print working directory의 약자로
현재 위치에 있는 경로를 보여줍니다.
cat []
concatenate의 약자로써 파일 내용을 커맨드에서 미리 볼 수 있습니다.
mv [기존 파일 및 폴더명] [새로운 파일 및 폴더명]
mv [옮길 전 파일 및 폴더] [옮길 경로]
move의 약자로써 파일 및 폴더에 이름을 변경할 수 있으며
파일 및 폴더의 하위 폴더 및 상위 폴더 경로를 이동할 수 있다.
ex) mv banana apple - 이름 변경
mv banana grape/ - 하위 폴더로 이동
mv banana .. - 상위 폴더로 이동
mkdir [생성하고자 하는 디렉토리명]
make directory의 약자로써 해당 위치에 디렉토리를 생성을 해줍니다.
mkdir을 입력을 하면 documents/dev 위치에 있을 경우
디렉토리를 생성을 합니다.
ex) mkdir banana/
touch [파일명.확장자]
현재 위치가 documents/dev 라고 가정을 했을 경우
touch를 하면 해당 위치에 파일을 생성을 합니다.
ex) touch README.md
rm [삭제할 파일명.확장자]
파일을 삭제하고자 쓰는 명령어 입니다.
ex) rm README.md
rm -rf [삭제할 디렉토리]
파일 및 디렉토리를 삭제하고자 쓰는 명령어인데 삭제를 할 경우
add, commit을 남겨줘야 합니다.
ex) rm -rf banana/
git status
git add git commit를 하기 전에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 입니다.
add를 해야 할 변경된 파일 내역은 빨간색으로
commit를 해야 할 변경된 파일 내역일 경우 초록색으로 출력됩니다.
ex) git status README.md
git add [stage에 올릴 변경된 파일]
Commit 하기 전에 이루어지며 git add 명령어는 파일을 추적을
시작했다는 의미입니다.
ex) git add README.md
git commit [stage에 올라간 변경된 파일]
변경된 내역을 남길 수 있다.
commit은 필요하다면 상세한 설명을 추가할 수 있으며
최대한 짧게 적는 게 (50자 미만) 직관적 입니다.
git add를 하고 git commit을 하면 메시지를 남길 수 있습니다.
ex) git commit README.md
git push [remote 저장소로 보낼 파일]
원격 저장소(remote repositroy) 에 코드 변경분을 업로드를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명령어 입니다.
ex) git push README.md
git clone [remote 저장소 경로]
원격 저장소에 있는 파일들을 내 로컬 저장소로 가지고 옵니다.
예를 들어서 github에 저장되어 있는 코드를 내 컴퓨터에 복제합니다.
ex) git clone https://github.com/abcd/abcd.git
😍 틀린 부분이 있을경우 댓글로 남겨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