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러 type selector 중 header, nav, section, article, aside, footer 등만 selector로 쓴다.

일반적으로 HTML 문서 각 요소의 padding과 margin을 일치시켜줄 때 씀
자식 요소에 class를 다 부여할 필요 없이 부모 요소의 class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으므로 coding을 심플하고 질서있게 할 수 있는 방법


부모 요소 안에서 해당되는 모든 요소


ex1) div.div_box p { }

ex2) div_box .list_ul .con li { }

인접해 있는 요소 한개를 선택할 때 쓰기 용이한 selector로, input과 같이 쓰는 label을 선택할 때 용이하다.
ex) input + label { }


지정된 요소 다음에 오는 모든 요소


이 중에 많이 쓰는 것 4가지


ex) .addTask > input[type="text"] {}
:class가 addTask인 element 안의 자식요소인 input tag 중 attribute가 type이고 값이 text인 element만 선택

ex) a[href^="http"] {}
:a tag안에 attribute가 href이고 그 값이 http로 시작하는 element만 선택

ex) a[href$=".pdf"] {}
:a tag안에 attribute가 href이고 그 값이 .pdf로 끝나는 element만 선택

ex) a[href*="naver"] {}
:a tag안에 attribute가 href이고 그 값에 naver를 포함하는 element만 선택


:nth-child(n)을 사용하면 아래와 같이 각 image에 연결된 tag에 다른 값을 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