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시스템의 발전
파일 시스템
- 데이터를 파일 단위로 파일 서버에 저장
- 각 컴퓨터는 LAN을 통해 파일 서버와 연결되며, 파일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 각 컴퓨터 응용 프로그램에서 open/close 요청
- 각 응용 프로그램이 독립적으로 파일을 다루기 때문에 중복 가능성이 있음
- 동시에 파일을 다루기 때문에 데이터의 일관성이 훼손될 가능성이 있음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DBMS를 도입하여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
- DBMS가 설치되어 데이터를 가진 쪽을 Server, 외부에서 데이터 요청하는 쪽은 Client라고 함
- DBMS 서버가 파일을 다루며 데이터의 일관성 유지, 복구, 동시 접근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함
- 데이터의 중복을 줄이고 데이터를 표준화하며 무결성을 유지함
웹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데이터베이스를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시스템
- 불특정 다수 고객으 상대로 하는 온라인 상거래나 공공 민원 서비스 등에 사용됨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여러 곳에 분산된 DBMS 서벌르 연결하여 운영하는 시스템
- 대규모의 응용 시스템에 사용됨
3단계 데이터베이스 구조

외부 스키마
- 일반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래머가 접근하는 계층으로 전체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하나의 논리적인 부분을 의미한다.
- 여러 개의 외부 스키마가 있을 수 있다.
- 서브 스키마라고도 하며, 뷰의 개념을 말한다.
개념 스키마
-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정의를 의미한다.
- 통합 조직별로 하나만 존재하며 DBA가 관리한다.
-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는 하나의 개념 스키마가 있다.
내부 스키마
- 물리적 저장 장치에 데이터베이스가 실제로 저장되는 방법의 표현을 말한다.
- 내부 스키마는 하나만 존재한다.
- 인덱스, 데이터 레코드의 배치 방법, 데이터 압축 등에 관한 사항이 포함된다.
외부/개념 매핑
- 사용자의 외부 스키마와 개념 스키마 간의 매핑(사상)
- 외부 스키마의 데이터가 개념 스키마의 어느 부분에 해당되는지 대응시킴.
개념/내부 매핑
- 개념 스키마의 데이터가 내부 스키마의 물리적 장치 어디에 어떤 방법으로 저장되는지 대응시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