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Framework에서 Bean은 Spring 컨테이너에 의해 관리되는 객체를 가리킨다. Bean은 Spring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객체들을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 모델을 이해할 때 가장 명확하게 이해해야 하는 개념 중 하나가 엔터티다. 우리말로 실체, 객체라고 번역하기도 하는데 실무적으로 엔터티라는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IoC(Inversion of Control)와 DI(Dependency Injection)는 소프트웨어 디자인 및 구현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다.
싱글톤 패턴(Singleton Pattern)은 객체지향 디자인 패턴 중 하나로, 특정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단 하나만 생성되고 어디서든지 그 인스턴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패턴이다.
Java Persistence API(JPA)는 Java 어플리케이션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하고 관리하기 위한 자바 표준 인터페이스와 기술의 모음이다.
JDBC(Java Database Connectivity)는 자바 언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할 때 사용하는 API(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다.
자바에서 접근 제한자(Access Modifier)는 클래스, 멤버 변수, 메서드 등의 접근 범위를 지정하는 데 사용된다.
Java stream은 자바 8부터 도입된 기능으로, 컬렉션(배열, 리스트, 맵 등)을 함수형 프로그래밍 요소처럼 다룰수 있게 해주는 API다.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관심사(Concern)를 모듈화하고 분리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이다.
Spring Framework는 자바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과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오픈 소스 프레임워크다.
Amazon CloudFront는 AWS의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서비스로, 웹 애플리케이션 및 컨텐츠의 속도와 확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다.
트랜잭션(Transaction)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 작업(쿼리)을 묶어서 논리적으로 단일 작업 단위로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Pure Component는 React에서 제공하는 컴포넌트 중 하나로, 성능 최적화를 위해 사용되는 특별한 종류의 컴포넌트다.
useEffect는 React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side effects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Hook이다.
Flexbox(Flexible Box Layout)은 1차원 레이아웃을 다루는 CSS 레이아웃 모델로, 주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요소들을 정렬하고 배치하는데 사용된다.
크로스 브라우징(Cross-Browser Compatibility)은 여러 웹 브라우저 간에 웹 사이트나 웹 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보장하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