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문자열 code가 주어집니다.
code를 앞에서부터 읽으면서 만약 문자가 "1"이면 mode를 바꿉니다. mode에 따라 code를 읽어가면서 문자열 ret을 만들어냅니다.

mode는 0과 1이 있으며, idx를 0 부터 code의 길이 - 1 까지 1씩 키워나가면서 code[idx]의 값에 따라 다음과 같이 행동합니다.

  • mode가 0일 때
    code[idx]가 "1"이 아니면 idx가 짝수일 때만 ret의 맨 뒤에 code[idx]를 추가합니다.
    code[idx]가 "1"이면 mode를 0에서 1로 바꿉니다.
  • mode가 1일 때
    code[idx]가 "1"이 아니면 idx가 홀수일 때만 ret의 맨 뒤에 code[idx]를 추가합니다.
    code[idx]가 "1"이면 mode를 1에서 0으로 바꿉니다.
    문자열 code를 통해 만들어진 문자열 ret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단, 시작할 때 mode는 0이며, return 하려는 ret가 만약 빈 문자열이라면 대신 "EMPTY"를 return 합니다.

제한사항

1 ≤ code의 길이 ≤ 100,000

  • code는 알파벳 소문자 또는 "1"로 이루어진 문자열입니다.

입출력 예

coderesult
"abc1abc1abc""acbac"

풀이

function solution(code) {
    let mode = 0;
    let ret = [];

    for(let i = 0; i < code.length; i++){        
        // 모드 0
        if(mode === 0){
            // 모드 변경
            if(code[i] === "1"){
                mode = 1;
            }else{
                if(i % 2 === 0){
                    ret.push(code[i]);
                }
            }
        }else{
            // 모드 변경
            if(code[i] === "1"){
                mode = 0;
            }else{
                if(i % 2 !== 0){
                    ret.push(code[i]);
                }
            }
        }
    }
  
    const result = ret.join("");
    
    if(result === ""){
        return "EMPTY";
    }else{
        return result;       
    }
}

느낀 점

한번 작성하고 틀리면, 변수를 잘못 가져다 쓴것이나 오타같은 것들이 정말로 안보이는 것 같다. 한번에 맞춘단 마인드로 침착하게 생각하면서 코드를 작성해야겠다 ㄷㄷ

profile
개인 이력, 포폴 관리 및 기술 블로그 사이트 👉 https://aimzero-web.vercel.app/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