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MSKim·2023년 2월 21일
0

CS

목록 보기
4/13

Internet Protocol

  • 컴퓨터가 연결된 네트워크 끝단의 주소로 기기가 인터넷에 접속한 곳의 네트워크상 위치이다.
    - 내가 쓰는 컴퓨터의 IP가 바뀔 수 도 있는데 예를 들면, 컴퓨터가 이동식 트레일러고 IP는 이 트레일러가 자리잡은 곳의 도로명 주소라고 보면 된다.

IPv4

  • 0 ~ 255 사이의 숫자 4개가 이어진 즉, 256의 4승에 달하는 IP를 가질 수 있는 형식.
  • 대략 46억개 정도 되는데 점점 부족해 지고있으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인IP와 사설IP로 나눈다.

공인IP / 사설IP

  • 어떤 컴퓨터들은 하나의 공통된 공인IP에 묶어 그 안에서만 안 겹치는 사설IP를 각각 줘버리면 한정된 IP로도 부족하지 않게 나눠줄 수 있다.
    - 공유기를 사용하는 가정집이나 학교, 회사 사무실 등에서 사용.
  • 사설IP를 쓰는 컴퓨터는 그 컴퓨터에서 공인IP를 쓰는 서버 등의 다른 컴퓨터로는 접근 가능하지만, 다른 컴퓨터에서 사설IP를 쓰는 컴퓨터로는 접근할 수 없다.
  • 서버용 컴퓨터에는 사용자가 해당 서버를 찾아가기 위한 IP는 절대 고유해야 찾아 갈 수 있기 때문에 공인IP를 갖고 있으며 사설IP를 쓰면 곤란하다.

사설IP(사용자 컴퓨터)에서 웹 사이트 서버(웹 서비스)를 돌리기 위한 방법으로는 포트포워딩 방식과 DMZ 방식이 있다.

Port Forwarding

  • 공유기 설정으로 공인IP에 포트들을 개방하여 내부에 사설IP(원하는 기기)마다 하나 씩 연결할 수 있다.
  • 공인IP:포트번호 이런식으로 외부에서 내 컴퓨터에 접근할 수 있다.

DMZ(Demilliterized Zone)

  • 공인IP의 모든 포트를 내부에 있는 하나의 특정 사설IP에 몰아주는 방식이다.
  • 모든 포트를 다 개방하는거라 보안상 위험이 있어 권장하는 방식은 아니다.

고정IP / 유동IP

  • 공인IP, 사설IP 모두 고정 또는 유동IP가 될 수 있다.
  • IP가 바뀌는 이유는 공인과 사설IP가 있는 이유처럼 활용할 수 있는 IP에 제한이 있기 때문이다.
  • IPv4 형식의 46억개 중에 1억개 정도의 IP가 한국에 할당되어 있고 이것을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들이 인터넷 사용 주체들에게 나눠준다.
  • 서버의 경우 IP가 계속 바뀌면 곤란하기 때문에 고정IP를 사용하고 일반 가정이나 기기들에는 주기적으로 IP들을 회수하여 인터넷을 사용 중인 곳에만 나눠주는 유동IP를 사용한다.
  • 즉, 놀고있는 기기들 까지 IP를 줘 놓고 있으면 나눠줄 IP가 부족해지니까 지금 사용할 기기들만 할당해 주고 사용하지 않는 기기들은 회수해 간다.
  • 유동IP는 IP가 자주 바뀌기 때문에 고정IP보다 어느정도 해킹으로 부터도 안전하다.

그런데 아까처럼 사용자 컴퓨터에서 웹 서비스나 NAS등을 운영하려고 하면 유동IP에 의해 언제 싹 바뀌어 버릴 수 있기 때문에 DDNS(Dynamic DNS) 라는 추가적인 조치를 취해야한다

DDNS

  • 수시로 바뀌는 유동IP를 감지하여 고정된 도메인에 연결시켜준다.
  • 공유기 페이지에 들어가서 이 옵션을 세팅 해 두면 도메인 주소에 내 컴퓨터의 유동IP를 연결할 수 있다.

profile
Today I Learned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