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yun3089.log
로그인
ahyun3089.log
로그인
[CS]1-2.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이아현
·
2023년 8월 4일
팔로우
0
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 노트
0
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 노트
목록 보기
2/8
✅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프로그래머에게 프로그래밍의 관점을 갖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개발 방법론
여러 패러다임을 지원하는 언어로는 C++, 파이썬, 자바스크립트가 있음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의 분류
선언형 - 함수형
명령형 - 객체 지향형, 절차 지향형
✅ 선언형과 함수형 프로그래밍
선언형 프로그래밍
'무엇을' 풀어내는가에 집중하는 패러다임
'프로그램은 함수로 이루어진 것이다'라는 명제가 담겨있는 패러다임
함수형 프로그래밍
'순수함수'들을 블록처럼 쌓아 로직을 구현하고 '고차함수'를 통해 재사용성을 높인 패러다임
자바스크립트는 단순하고 유연한 언어이며, 함수가 일급 객체이기 때문에 함수형 프로그래밍이 더욱 선호됨!
순수함수 : 출력이 입력에만 의존하는 함수
고차함수 : 함수가 함수를 값처럼 매개변수로 받아 로직을 생성할 수 있는 함수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 Object Oriented Programming)
객체들의 집합으로 프로그램의 상호 작용을 표현하며 데이터를 객체로 취급하여 객체 내부에 선언된 메서드를 활용하는 방식
설계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처리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림
✔️ OOP 특징
추상화 : 복잡한 시스템으로부터 핵심적인 개념 또는 기능을 간추려내는 것
캡슐화 : 객체의 속성와 메서드를 하나로 묶고 일부를 외부에 감추어 은닉하는 것
상속성 : 상위클래스의 특성을 하위클래스가 이어받아서 재사용하거나 추가, 확장하는 것
다형성 : 메서트나 클래스가 다양한 방법으로 동작하는 것
오버로딩 : 같은 이름을 가진 메서드를 여러 개 두는 것 (정적)
오버라이딩 : 상위클래스로부터 상속받은 메서드를 하위 클래스가 재정의하는 것 (동적)
✔️ OOP 설계 원칙 : SOLID
SRP (Single Responsibiliy Principal) : 단일 책임의 원칙
모든 클래스는 각각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하는 원칙
OCP (Open Closed Principal) : 개방-폐쇄 원칙
기존의 코드는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확장은 쉽게 할 수 있어야 함
LSP (Liskov Substitution Principal) : 리스코프 치환 원칙
프로그램의 객체는 프로그램의 정확성을 깨뜨리지 않으면서 하위 타입의 인스턴스로 바꿀 수 있어야 함
ISP (Interface Segregation Principal) :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하나의 일반적인 인터페이스보다 구체적인 여러 개의 인터페이스를 만들어야 하는 원칙
DIP (Dependency Inversion Principal) : 의존 역전 원칙
자신보다 변하기 쉬운 것에 의존하던 것을 추상화된 인터페이스나 상위 클래스를 두어 변하기 쉬운 것의 변화에 영향받지 않게 하는 원칙
상위 계층은 하위 계층의 변화에 대한 구현으로부터 독립
✅ 절차형 프로그래밍
로직이 수행되어야 할 연속적인 계산 과정으로 이루어져있음
✅ 패러다임의 혼합
여러 패러다임을 조합하여 상황과 맥락에 따라 패러다임 간의 장점만 취해 개발하는 것이 좋은 방향!
이아현
PM을 지향하는 FE 개발자 이아현입니다 :)
팔로우
이전 포스트
[CS] 1-1. 디자인 패턴
다음 포스트
[CS] 2.1 네트워크의 기초
0개의 댓글
댓글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