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공부한 내용 💻
- 트리 ( 이진트리 - 완전,포화,편향)
- 트리와 이진트리 구현 ( 배열과 연결 리스트 이용)
- 힙 (이진트리 이용) & 힙 요소 추가, 삭제 알고리즘 & 최대 힙,최소 힙 두가지 방식 구현
- 트라이의 특징과 구조
- 정렬 (비교식 : 버블, 선택, 삽입, 분산식 정렬: 합병, 퀵)
- 이진 탐색의 특징 & 배열, 이진 트리를 이용한 구현
어려웠던 내용 😵💫
- 이진 탐색 중 이진 트리 이용하는 부분
- 실습 문제 풀이
궁금한 내용 / 부족한 내용 👀
- 이진 트리의 문제점을 AVL, 레드-블랙 트리 자료구조를 이용해 해결할 수 있다는데 이 자료 구조를 공부해봐야 겠다고 생각함
- 이진 트리 제거 부분 구현이 아직 미숙하다.
추가적으로 참고한 자료 🗝
느낀 점 😇
오늘은 팀원분들과 돌림판의 UI를 최종 변경했다.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 실습 문제들을 풀어봤는데 예전에 풀었던 문제인데도 잘 풀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좀 아쉽다.. 주말에 한번씩 다시 풀어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해야겠다.
또, 그저께와 어제 잠을 좀 못잤더니 피곤해서 오늘 강의만 공부하는것이 좀 아쉽다.
컨디션 조절을 잘 하는것도 능력인데..
이 부분이 좀 아쉽게 느껴진다. 푹 자서 내일은 컨디션 회복을 해야지 😅
Day6 자료구조
Day6 알고리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