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11 Complete !
수많은 마라톤 선수들이 마라톤에 참여하였습니다. 단 한 명의 선수를 제외하고는 모든 선수가 마라톤을 완주하였습니다.
마라톤에 참여한 선수들의 이름이 담긴 배열 participant와 완주한 선수들의 이름이 담긴 배열 completion이 주어질 때, 완주하지 못한 선수의 이름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participant | completion | return |
---|---|---|
["leo", "kiki", "eden"] | ["eden", "kiki"] | "leo" |
["marina", "josipa", "nikola", "vinko", "filipa"] | ["josipa", "filipa", "marina", "nikola"] | "vinko" |
["mislav", "stanko", "mislav", "ana"] | ["stanko", "ana", "mislav"] | "mislav" |
예제 #1
"leo"는 참여자 명단에는 있지만, 완주자 명단에는 없기 때문에 완주하지 못했습니다.
예제 #2
"vinko"는 참여자 명단에는 있지만, 완주자 명단에는 없기 때문에 완주하지 못했습니다.
예제 #3
"mislav"는 참여자 명단에는 두 명이 있지만, 완주자 명단에는 한 명밖에 없기 때문에 한명은 완주하지 못했습니다.
import java.util.HashMap;
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participant, String[] completion) {
String answer = "";
HashMap<String, Integer> map = new HashMap<>();
for(String parti : participant ) {
map.put(parti, map.getOrDefault(parti, 0)+1);
}
for(String comple : completion) {
map.put(comple, map.getOrDefault(comple, 0)-1);
}
for(String no : map.keySet()) {
if(map.get(no) != 0) answer = no;
}
return answer;
}
}
이 때 이 문제를 풀면서 getOrDefault를 알게되었었다. HashMap을 잘 사용할 줄 모르던 시절 😂
완주한 사람들은 있는 hashmap에서 -1씩 해주고 나중에 value값을 체크하면서 0이 아니면 문자열에 넣는다.
해당 문제 풀이를 보니 이런 답변이 있었다.
💡 keySet()을 사용하는 것보다, enrtySet()을 사용하는 것이 시간 복잡도 면에서는 더 낫다.
@Sungwon
Entry의 getKey() / getValue()와 HashMap의 get()은 이름이 비슷할 뿐 내부 과정은 다릅니다. 전자는 현재 차례의 entry의 속성 값을 바로 가져오는 반면, 후자는 (hashmap에서 찾아야 해서) hashcode(), equals() 등의 함수를 내부에서 실행하며 시간을 더 사용합니다. 그런 점에서 entrySet 사용을 권장하는 것 같습니다. 대부분 get()은 O(1)에 수렴하며 getValue()도 자명한 O(1)이지만 같은 1이 아닌 것이지요.
이런 것도 참고해서 풀어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