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5일 학습노트

항상 졸린사람·2023년 3월 5일
0

cs

목록 보기
5/9

앞으로 Level-triggerd D-type flip flop은 1bit latch!

1bit latch는 하나의 비트 데이터를 저장 할 수 있는 메모리를 말하는데 설명하기 편하게 1bit latch 라고 설명한다.

8bit latch

8bit latch는 1bit latch를 8개 연결해놓은 형태로 한번에 입력을 받고 출력을 해야하기에 각각에 write(cpu의 클럭)를 연결하고 write가 1일때 입력을 받은 각각의 자리로 입력한 숫자를 data out에 저장한다

8-to-1 selector이란

위의 정보를 저장 하였으면 출력을 위해서는 8-to-1 selector를 사용한다 이 회로는 8bit latch에서 원하는 1bit를 가져올 수 있다. 그림으로 보면 어려운 것 같지만 하나하나 회로를 따라 가보면 쉽게 이해 할 수 있다.
1. D(n)은 각 1bit latch의 데이터라고 생각한다.
2.S(n)은 selector가 가진 고유한 주소(address)이다 이는 각각 1비트의 주소를 가진다.
3.이점을 생각하고 따라가보자

우선 우리는 음.. D(0)데이터를 가져온다고 가정해보겠다. D(0)을 가져오기 위한 주소는 S(n)들의 선을 따라가본다 그럼 not을 거치고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는 말은 S(n)에 전류가 흐르지 않은 상태에서 D(0)d에 접근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to-8 decoder

앞서 8bit latch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 보았는데 기존에 데이터를 넣을때는 모든 latch에 wrtite(클럭)이 연결되었지만 3-to-8 decoder를 이용하면 8-to-1 selector에 나왔던 것 처럼 address를 이용하여 특정 bit latch에만 연결 할 수 있도록 만든 회로이다.

온전한 8비트 렛치 회로를 보자


위의 그림은 8비트 렛치의 온전한 회로이다. 위에서 나온 내용을 토대로 회로의 순서를 보자면
1. 먼저 wrtie에서 전류가 들어온다.
2.Address에서 스위치를 이용해 특정 주소값( latch 주소 )을 출력한다.
3.Address주소를 따라 write의 전류가 흐른다.
4.Data In에서 데이터가 들어오 활설화된다면 write가 활성화 되어있는 latch에 데이터가 저장된다.
5. 8-to-1 Selector를 에서 위에서 똑같이 받은 Address를 기준으로 해당 latch에서 데이터를 가져온다.
6. 데이터를 출력한다.

RAM(random access memory)와 장점

위에서 나온 decoder와 selector로 구성 되어있고 특정 공간을 지정해 데이터를 넣을 수 있는 특징을 가진 것이 ram이다 ram의 장점으로는 address를 이용하여 특정 공간을 지정하여 데이터를 바로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하나하나 확인하여 접근할 필요가 없다는 큰 장점이 있다

profile
최대한 쉽고 한국인이 보기 편한 코딩 Velog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