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코딩테스트며 CS시험이며 정신이 하나도 없어서 글 쓸 여유가 많지 않았다..
이 온점의 갯수는 나의 처참했던 코딩테스트 결과를 대신한다.........
글을 안올렸지만 여전히 스터디는 열심히 참여중이었다.
(근데 한번 애기 재우다가 나도 잠들어서 못들어갔다...흑흑흑)
앞으론 애기는 남편에게 맡겨 재우는걸로....
각설하고 내가 이번주에 맡았던 문제다! 실버4문제인데 스택을 배우고 나니
'이게 왜 실버4지...?'
싶은 오만함이 내 마음을 휩쓸었다...ㅋㅋㅋ
문제 조건은 이러하다!
문제
나코더 기장 재민이는 동아리 회식을 준비하기 위해서 장부를 관리하는 중이다.재현이는 재민이를 도와서 돈을 관리하는 중인데, 애석하게도 항상 정신없는 재현이는 돈을 실수로 잘못 부르는 사고를 치기 일쑤였다.
재현이는 잘못된 수를 부를 때마다 0을 외쳐서, 가장 최근에 재민이가 쓴 수를 지우게 시킨다.
재민이는 이렇게 모든 수를 받아 적은 후 그 수의 합을 알고 싶어 한다. 재민이를 도와주자!
입력
첫 번째 줄에 정수 K가 주어진다. (1 ≤ K ≤ 100,000)
이후 K개의 줄에 정수가 1개씩 주어진다. 정수는 0에서 1,000,000 사이의 값을 가지며, 정수가 "0" 일 경우에는 가장 최근에 쓴 수를 지우고, 아닐 경우 해당 수를 쓴다.
정수가 "0"일 경우에 지울 수 있는 수가 있음을 보장할 수 있다.
출력
재민이가 최종적으로 적어 낸 수의 합을 출력한다. 최종적으로 적어낸 수의 합은 231-1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그러니까 0은 backspace인 것이다.
그래서 스택으로 쌓다가 0이 나오면 팝해주고,
결과값은 스택에 남은 모든 것들의 합이 되겠다.
처음에 너무 쉽게 풀어서 얼른 제출 돌려보자는 마음으로 신나게 돌렸는데...
계속 "시간초과"가 나왔다...
로직도 그렇게 복잡하지 않은데 도대체 왜...?
그런데 내가 문제 잘못보고 합을 안구했다.
앞으로의 다짐은....문제를 잘 읽자...!..
그게 제일 중요한 준비였다......
코드를 한번 보자!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k = sc.nextInt();
int[] numbers = new int[k];
for (int i = 0; i < numbers.length; i++) {
numbers[i] = sc.nextInt();
}
Stack<Integer> stack = new Stack();
for (int i = 0; i < numbers.length; i++) {
if(numbers[i] != 0){
stack.push(numbers[i]);
} else if (numbers[i] == 0 && !stack.isEmpty()) {
stack.pop();
}
}
int result = 0;
while (!stack.isEmpty()){
result += stack.pop();
}
System.out.println(result);
}
}
매우 간단하게 풀었다. 처음으로 딱 보고 느낌 딱 와서 푼 문제....
백준 제출해서 "맞았습니다!!" 가 뜬 나의 첫 문제..."제로"
잊지 않겠다...
근데 어제 스터디 하면서 들어보니 Scanner보다 BufferReader가 훨씬 메모리를 덜 먹는다는 얘길 들어서
다음엔 BufferReader를 써 볼 생각이다.
백준은 처음 해봐서 다 메인함수에 넣어야 하는게 적응이 안된다.
클래스 만들어서 하는게 나는 더 재밌는거 같다.ㅋㅋㅋㅋ
그래서 맨날 클래스 만들고 다시 메인에 꾸깃꾸깃 넣는 중.
앞으로 어려운 문제들도 딱 느낌이 팍 와서(?)ㅋㅋㅋ
슝슝 풀고 싶다...
얼른 공부해야지....
안녕~~
페어코딩을 해본경험은 꼭 도움이 될것같아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