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quelize 초기 파일 세팅을 sequelize cli를 통해 편하게 하려고 sequlize init 명령어를 입력했는데...
사용자가 어떤 요청을 했고 그 요청의 결과는 어떻게 됐는지, 그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다면 어디서 발생했는지 log4j를 사용해서 보고싶다!
스코프 프로젝트에서 팀원이 log를 Spring AOP를 사용해 모듈화 시킨걸 보고 21-10-09에 3줄로 정리한 spring AOP 설명에 추가!
첫 코테에서 SQL문제가 나온다는 사실을 시험 시작 2시간 전에 알았다. 발등에 불떨어져서 정말 기본적인 SQL 기본 문법만 정리했다!
서버를 배포하고 나서 로그나 파일 등을 확인할 때 리눅스 명령어를 사용한다. 자주 쓰지 않기 때문에 잘 익지 않아 정리해놓고 눈에 익히기로 결심했다! (계속 추가 예정)sudo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mkdir 폴더명 make directory폴더명 폴더를 생성rm
Annotation 동작 원리 찾다가 @Service를 봤고 그걸 보고 프로젝트에서 Service를 인터페이스와 구현체로 리펙토링 하려고 했다는 사실을 기억해냈다. 근데 왜 그래야 하지?라는 질문에 답을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