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2장

이상원·2022년 12월 1일
0

통신하기 위한 규칙을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편지를 주고 받는 상황일 경우 편지를 쓸 때 부터 상대방에게 도착할 때까지 지켜야 하는 독립적인 여러 규칙을 거쳐야 한다.

OSI 모델

물 데 네 전 세 표 응 순으로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까지 이루어져 있다.

  • 데이터 전송하는 쪽(송신 측) : 상위 계층 -> 하위 계층
  • 데이터 수신하는 쪽(수신 측) : 하위 계층 -> 상위 계층

TCP/IP 모델

현재는 OSI 7 계층보다 TCP/IP 모델을 사용하고 있다. TCP/IP 계층은
네 인 전 응 순으로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까지 이루어져 있다.

캡슐화와 역캡슐화

사진 출처

  • 헤더 : 데이터 전송 시 필요한 정보(데이터를 전달받을 상대방에 대한 정보도 포함)를 붙여서 다음 계층으로 보내야 한다.

  • 캡슐화 : 헤더를 붙여 나가는 것

  • 역캡슐화 : 데이터를 받은 부분에서는 헤더를 제거해 나가야 한다.

  • 트레일러 : 데이터 전달 시 데이터 마지막에 추가하ㅡㄴ 정보

캡슐화 순서 관계

  1. 응용 계층 : website에 접근하기 위한 요청 데이터 생성
  2. 전송 계층 : 신뢰할 수 있는 통신이 될 수 있도록 응용 계층에서 만들어진 데이터에 헤더가 붙는다.
  3. 네트워크 계층 : 전송 계층에서 만들어진 데이터에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헤더를 붙인다.
  4. 데이터 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에서 만들어진 데이터에 물리적인 통신 채널 연결을 위해 헤더와 트레일러를 붙인다.

이러한 순서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전기 신호를 통해 수신측으로 데이터가 전달된다.

역캡슐화는 위와 반대로 순서를 거쳐 데이터를 확인한다.

profile
개발하는 코린이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