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르는 프로토콜이다.웹 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HTTP 프로토콜은 1991년에 최초로 제안되어, 현재는
컴퓨터의 모든 프로그램은 CPU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인 메모리인 RAM에 적재되어야 한다. 하지만, RAM은 하드웨어이므로 물리적 한계점이 존재한다. 흔히 말하는 RAM 용량이 이에 해당한다. RAM은 본인의 최대 용량을 넘는 데이터를 한번에 기억할 수 없다. 따라
OAuth2.0
웹 개발을 하다보면 CORS와 관련된 오류를 종종 만나곤 한다.특히, CORS 오류는 한 웹사이트에서 다른 웹사이트 서버로 API 요청을 보낼 때 자주 접하는 오류인데, 예를 들어 URL이 "www.aaa.com"인 사이트에서 "www.bbb.com"인 사이트로 API
HTTP 1.0 과 HTTP 1.1 차이점https://withbundo.blogspot.com/2021/02/http-http-10-http-11.htmlHTTP 1.1 에서의 HOLB(Head-of-Line Blocking)https://withb
Spring 또는 Spring Boot를 이용해서 웹 백엔드 서버를 개발하는 경우, 사용자 인증과 인가를 처리하기 위해 Spring Security를 많이 사용한다.Spring Security는 Spring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의 보안(인증과 권한, 인가 등)을 담당하는
Docker는 컨테이너 기술 기반의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이다. 좀 더 자세하게 말하자면, 애플리케이션 런타임을 지향하는 컨테이너 런타임이다.참고. 컨테이너에는 시스템 컨테이너와 애플리케이션 컨테이너가 있다. 궁금하다면 추가적으로 찾아볼 것.운영체제 수준의 가상화 기술
면접을 준비하면서 컴퓨터공학관련 이론 내용을 정리하고자 한다.이론의 모든 내용을 다루지는 않을 것이고, 중요도가 높은 개념과 쉽게 까먹을 수 있는 지엽적인 내용을 위주로 다룰 것이고, 깊은 이론을 요하는 내용의 경우 개선점으로 적어놓고 추후에 내용을 추가할 것이다.컴퓨
운영체제는 사용자가 컴퓨터를 쉽게 다루게 해주는 인터페이스이다. 운영체제가 있기에 사용자는 한정된 메모리나 시스템 자원을 분배하는 일을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운영체제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CPU 스케쥴링과 프로세스 관리 \- CPU 소유권을 어떤 프로세스에 할당할지
프로세스는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말하며 CPU 스케줄링의 대상이 되는 작업(task)이라는 용어와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스레드는 프로세스 내 작업의 흐름을 지칭한다.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올라가면 프로세스가 되는 인스턴스화가 일어나고, 이후 운영체
데이터베이스는 일정한 규칙, 혹은 규약을 통해 구조화되어 저장되는 데이터의 모음이다. 해당 데이터베이스를 제어, 관리하는 통합 시스템을 DBMS라고 하며, 데이터베이스 안에 있는 데이터들은 특정 DBMS마다 정의된 쿼리 언어를 통해 삽입, 삭제, 수정, 조회 등을 수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