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는 세미콜론 즉 ; 으로 끝낸다.이렇게 한 줄로 나타낼 수도 있고 보기 편하게 나눠서 나타낼 수도 있다. 둘은 같은 코드이다.
JS의 데이터를 표시할 방법들을 알아봅시다.(innerHTML은 HTML content임을 뜻한다.)위 코드처럼 demo-3이라는 id를 가진 p tag에는 아무 데이터가 없었지만 JS를 이용하여 데이터가 나타났다.
function을 실행하게 해주는데, 그 array에 있는 각각의 item을 실행하게 해준다.하지만 array의 각 item에 1개의 function만 실행하게 해준다.
둘 다 js 상에서 부모와 자식 관계를 만들어주는 요소이다.요소(tag)를 생성해줄 때 사용한다.여러개의 자식 형성이 가능하다.string도 자식으로 만들어줄 수 있다.
랜덤으로 요소를 나타내고 싶을 때 사용한다.10가지의 명언 목록이 있다면, 0번째 부터 9번째까지 랜덤으로 나타나게 해줄 function이 필요하다.해당 요소를 랜덤으로 나타나게 해줄 수 있는 module이다.math의 function 중 하나인데, 0부터 1 사이 랜
매번 일어나야 하는 어떠한 것을 의미한다.위 코드는 5초마다 Hello라는 글씨가 console 창에 뜨게된다.interval을 셋팅해주는 것!
브라우저에 뭔가를 저장할 수 있게 해준다.따라서 저장한 값을 나중에 가져다 쓸 수 있다.ex) 유튜브 볼륨을 내리거나 올리고 새로고침 시 그대로!로그인 후 새로고침 시 입력했던 값이 그대로 남아있는 상태!
바로 전 게시글과 이어집니다.className은 HTML 상에서 해당 개체의 class가 존재한다고 해도 아예 바꿔버린다.class들의 목록으로 작업이 가능하게 해준다.classList.contains() 는 () 속에 명시된 class가 HTML 요소의 class에
h1 tag를 여러번 클릭 시 파란색 빨간색으로 번갈아가게 나타나도록 하는 click event를 만들어본다.if와 else를 사용하여 === 기호로 해당 색 확인을 해준뒤 blue면 red로 click event가 나타나게 한다.=은 같다는 뜻 즉 바꿔달라는 뜻이다.
클릭, hover, 무엇을 적기, enter를 누르는 것, 무엇을 입력하는 것, wifi에서 접속이 끊어졌을 때 등등이 다 event이다.
document object는 html 코드를 javascript 관점에서 보여준다.그 뿐만 아니라 html 코드 변경도 가능하다.이렇게 html에 있는 태그를 가져다가 쓸 수 있다.console 창에서 변경도 가능하다.(물론 새로고침 시에는 다시 돌아간다.)
return 명령문에 도달하면 함수의 실행은 그 지점에서 중단되고, 값을 제공한 경우는 함수를 호출한 곳에 그 값을 반환한다. 이때 값을 명시하지 않으면 undefined를 반환합니다.위 코드는 모두 함수 실행을 중단해준다.return;만 적혀있는 것은 위 코드처럼 사
비선형 자료구조 - 순차적인 연결이 아닌 유기적으로 연결된 자료구조이다.계층적 관계를 표현한다. - 디렉터리 구조, 조직도노드(node)로 이루어진 자료구조이다.그래프의 한 종류이다.최소 연결 트리라고도 부른다.사이클(cycle)이 없는 하나의 연결 그래프(Connec
property를 가진 data를 저장할 수 있게 해줌.array는 하나의 의미를 가진 list를 나열 한 것이라 각 값의 의미를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그럼 각각의 의미를 지닌 것은 어떻게 나타낼까??object를 만들어 내는 것은 의미가 다른 각각의 variable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