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M] MM Over view

SAPWISE·2023년 8월 25일
0


  1. 요구사항 정의 (Determination of requirement)

    MRP나 자재를 사용할 부서의 요청에 의해 자재요구사항을 정의한다. PR(Purchase Requisition)은 소요부서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지거나, MRP에 의해 자동생성된다.
    요구사항을 정의하는 단계에서는 과거의 판매예측을 통하여 현재의 재고를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동적으로 구매요청이 만들어지거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만들어진다. 즉 자재요청서는 자재수급계획(MRP)나 자재 투입 부서의 요청에 의해 만들어진다.

  2. Source 정의(Source determination)

    발생된 요청을 어느 업체를 통해서 공급받을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다. 우선 기존에 발생한 구매문서와 계약서를 참조하여 가능한 공급업체 선정한 후, 복수 개의 업체로부터 어떠한 조건으로 납품을 받을지를 비교 분석하여 공급업체를 결정한다.
    간단히 말하면, 견적요청서를 보내기 위한 공급업체를 선정하는 것이다. 즉 기존의 계약이나 장기계약을 바탕으로 잠재적인 공급업체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만들어진 업체리스트를 중심으로 견적요청서를 작성하고 해당업체에 프린터, 팩스, EDI, E-MAIL 등을 활용하여 발송한다.

  3. 구매업체 선정(Vendor selection)

    공급업체별 자재 제공조건을 바탕으로 가격을 비교하여 업체를 선정한다. 여러 공급업체의 가격 시나리오를 통해 업체가 제출한 견적을 비교한 후 업체를 선정하고 선택되지 못한 업체에게는 자동으로 불합격 통지서를 발송한다.

  4. 구매발주 생성(Purchase order processing) ME21N

    공급업체에게 필요한 자재를 언제까지 얼마만큼의 수량의 물품을 달라는 구매요청서로(PO)로 구매발주를 생성한다.
    견적요청서(RFQ)를 참조하여 생성하기도 하고 구매담당자가 참조문서 없이 직접 생성하기도 한다. 구매오더는 공급업체에게 나가기도 하고(외부 조달), 재고이전을 위해 같은 회사코드 내의 다른 플랜트로 나가는 경우(내부 조달)도 있다.

  5. 구매발주 확인(PO Monitoring)

    구매부서는 구매발주 후 확인을 해야한다. 발행된 발주서에 대한 응답이 없을 경우 혹은 발행된 발주서에 맞게 정량으로 물품이 들어왔는지 등을 확인한다.
    구매발주확인에서는 구매오더의 상태를 조회하고,발주품목의 입고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독촉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모든 구매요청서, 견적서, 구매오더를 관리하고 운송 중인 자재상태를 관리 할 수 있다.

  6. 자재입고처리(Good Receipt) MIGO

    업체로부터 납품된 자재를 구매 발주를 참조하여 입고(Goods Receipt)한다.
    입고담당자는 단순히 구매오더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입고에 대한 확인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고허용기간을 결정함으로써 주문된 물품에 대한 Over delivery나 Under delivery를 결정할 수 있다.
    발주량과 입고량을 비교하는 것도 자재입고를 처리하는 단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입고를 전기할 경우에는 자재문서와 회계문서라는 2개의 문서가 동시에 발생한다. 자재문서는 운송된 자재와 수량 등의 정보를 담고 있으며, 회계문서는 회계 처리와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다.

  7. 송장발행 및 검증(Invoice verification)

    송장을 발행하고 구매발주와 입고내역을 참조하여 송장을 검증한다.
    MM시스템에서는 송장의 주문된 수량과 입고된 수량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며 이를 통해서 대금지불 과정을 신속히 처리할 수 있다. 대금지불담당자는 단순히 입고 수량과 구매오더에 나타난 금액만을 비교함으로써 송장검증을 보다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공급업체 송장의 가격과 내역 등을 확인하는 과정으로 구매오더(Purchase Order), 입고문서(GT Document), 송장(Invoice Document) 3가지 문서의 일치성을 확실하게 검증하는 것이 중요하다.

  8. 지급(Payment)

    FI/CO 전표를 기반으로 시스템상으로 지급처리 되고, 실제 펌뱅킹상으로 지급처리

출처 : https://m.blog.naver.com/howwithus/221469086998?referrerCode=1

MM(Material Management)는 구매계획으로부터 구매요청(Purchase Request), 발주(Purchase Order), 입고(Goods Receipt), 출고(Goods Issue) 및 대금지불(Invoice Verification)까지 일련의 구매자재 관리 업무를 최적화 효율화 할 수 있도록 Best Practice를 기본으로 풍부한 기능이 제공되는 기본 모듈

profile
SAP, ERP, ABAP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