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명령어

Hyuk2·2023년 10월 27일
0

git

목록 보기
3/5
post-thumbnail

1. 폴더를 생성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툴(vs code, eclipse 등)을 이용하여 생성한 폴더 열람.

  • git-bash에서 git init 입력

-> 생성한 폴더 안에 숨김모드로 되어있는 .git 폴더 생성

2. 생성한 폴더 안에 파일들을 생성

  • git-bash에서 git status 입력
  • git-bash에 생성한 파일들의 이름이 나온다.

3. 파일 하나 담기

  • git-bash에서 git add (파일명) 입력

4. 모든 파일 담기

  • git-bash에서 git add . 입력

5. 커밋, 커밋 메시지

  • 커밋 : git commit
  • 커밋하고 메시지까지 작성 : git commit -m "(커밋 메시지)"

6. 커밋한 것들을 파악(커밋 해시, 작성자, 날짜, 커밋 메시지)

  • git-bash에서 git log 입력

7. add와 commit을 같이

  • git-bash에서 git commit -am "(커밋 메시지)"
    주의 : 새로 추가된 파일이 없을 때 가능하다.

8-1. reset을 이용해 예전으로 돌아가기

  • git-bash에서 git log 입력
    되돌아갈 시점 : 원하는 커밋 메시지의 커밋 해시 복사

-> 커밋 해시 : commit 옆에 있는 문자열
-> 커밋 메시지 : FIRST COMMIT

  • git-bash에서 git reset --hard (돌아갈 커밋 해시) 입력

8-2. 커밋되지 않은 것들을 다 지우고, 최근에 커밋된 지점으로 복원

  • git-bash에서 git reset --hard 입력

9-1. revert로 과거의 커밋 되돌리기

  • git-bash에서 git revert (되돌릴 커밋 해시)

9-1. 커밋을 바로하지 않고, revert 하기

  • git-bash에서 git revert --no-commit(되돌릴 커밋 해시)
profile
끝까지 하는 사람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