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 Driven Development
Test 코드를 기반으로 인터페이스를 작성하는 방식
기존에 개발 코드를 작성하고 개발 코드 (함수, 클래스, 모듈 등)를 테스트 했다면, TDD방식은 개발할 단위들의 Test 코드를 먼저 작성하고 개발 코드를 작성하는 방식
(1) 개발할 유닛들을 먼저 Test한다 (개발 코드 작성하진 않은 상태)
(2) 당연히 Fail 할 수 밖에 없지.
(3) 유닛들이 Success한 결과가 나오도록 개발 코드를 채워나간다.
(4) 성공할 때 까지 반복
모든 당연히라는 건 없지. 상황과 환경에 따라 사용하는게 좋다. 프로젝트의 성격과 일정, 요구사항의 명확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package.json 파일에서
"test" : "jest --watch"
로 작성해 주면 .test 을 변경하여 저장할 때, 자동으로 변경된 파일의 test를 수행해준다. 단, 파일이 변경되어 있을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git과 함께 사용 해야 한다는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