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목적
해당 문서는 대학원 과정 중 컴퓨터 공학론에 대해 정리하고자 작성된 문서이다.
기억 장치
비트(Bit)
비트란
- Binary Digit, 1 또는 0으로 표현되는 수를 의미
- 두 개의 상태 중 하나를 표시
- 정보 표현의 최소 단위
한 Bit가 가지는 다양한 의미
- 숫자 1 / 0
- Boolean 값
- 전압이 높다/ 낮다
Bit Pattern
Bit Pattern은 정보의 표현에 사용된다.(숫자, 문자, 영상, 소리 등)
Bool Operation
AND
#### OR
XOR
Gates
주어진 입력과 부울 연산에 대하여 출력을 내주는 장치로 전자 회로로 구성되어 있음
컴퓨터 구성의 가장 기본 단위로 제공
아래 gates 이미지 출처 : 링크
AND

OR

NOT

NAND
NOT(AND)

NOR
NOT(OR)

XOR

Flip-flops
gate로 만들어지는 1 비트 저장 장치로, 휘발성 메모리의 역할을 한다.
- 저장된 값을 1로 만들어 주는 input line
- 저장된 값을 0로 만들어 주는 input line
- 아무런 input이 없을 경우에는 최근에 저장된 값을 유지
https://park-pro-diary.tistory.com/123 여기에 잘 설명되어 있음
16진법(Hexadecimal) 표현
- 긴 2진법을 간략히 표시
- 4비트씩 그룹으로 나누어 표시
- 각 그룹을 하나의 심볼로 표시
- e.g.
- 10100011 -> A3
- 00100111 -> 27
주 기억장치(Main memory): cells
- Cells : 통상 사용되는 컴퓨터의 주 기억장치의 단위(보통 8bits)
- Byte : 연결된 8 bits
- High-order end : Cell의 왼쪽 부분
- Low-order end : Cell의 오른쪽 부분
- Least significant bit : cell의 오른쪽 마지막 비트로 가장 의미가 적음
기억장치의 구성
- 주 기억 장치
- computer 내부에 있는 수많은 bit들의 저장 장소
- Byte단위로 분할
- RAM(Random Access Memory) 이라고도 함
- 1byte = 8 bit
- word : 특정 cpu가 한번에 처리하는 byte 수
- e.g : 32bit CPU : 1 word = 4 byte = 32 bit
주 기억 장치의 주소
- 주소 : 컴퓨터 주 기억장치의 각각 cell에 주어지는 고유 번호
- 주소는 처음 cell에 0으로 시작되어 연속적으로 주어진다.
- cell에는 순서가 존재하여, 다음 cell이라는 표현이 의미를 갖는다
- Random Access Memory : 어떤 cell도 독립적으로 접근 가능한 저장 장치
기억장치 용량 측정(Measuring memory capacity)
- 1byte = 8 bit
- 1byte는 0~255까지 총 256가지 표현 가능
- 7bit는 128가지로 영문 표현의 최소 개수
- 1bit는 error check 용 또는 다른 용도(부호)
- 1 kb = 1024 byte
- 1 mb = 1024 kb
- 1 gb = 1024 mb
주소
- 주기억장치의 각 byte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각 byte를 구별할 수 있는 고유의 주소(이름) 필요
- 각 byte마다 주소를 부여
읽기
- cpu가 address를 준다.
- memory가 그 내용을 준다.
쓰기
- CPU가 address와 byte값을 준다
- memory가 해당 byte의 값을 바꾼다.
RAM vs ROM
RAM |
ROM |
random access memory
|
read-only memory
|
휘발성 메모리
전원이 차단되면 RAM에 있던 데이터가 사라짐
|
비휘발성 메모리
전원이 차단되어도 데이터를 계속 갖고 있음
|
ROM보다 빠름
|
RAM보다 느림
|
대용량 저장 장치
- 컴퓨터가 꺼져도 data가 남음
- 일반적으로 주 기억장치보다 훨씬 큼
- 보통 회전하는 disk로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CD-ROM등이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
- 주기억장치: 빠르지만(nano) 비싸고, 휘발성
- 보조기억장치 : 비휘발성이며 싸지만, 느림(milli)
Disk 저장장치
- 대용량 기억장치: disk, compack disk, cd
- Disk
- track : 동심원 모양
- cylinder : set of tracks
- sector : 512 ~ 1024 byte 단위로 분할
- Performance measure
- Seek time : head를 데이터가 저장된 track 위치로 이동시키는데 소요된 시간
- Rotation delay or Latency time : head를 데이터가 저장된 트랙으로 이동시킨 순간 부터 원하는 섹터에 헤드가 다다를 때까지 걸린 시간
- Transfer rate : head가 찾은 데이터를 실제로 디스크로부터 사용자의 버퍼로 보내지는데 소요된 시간
- Access time: seek time + rotation delay
- formatting
- track/sector는 disk의 물리적인 성질이 아님
- head로 marking해서 track/sector 표시
- 그 과정을 formatting이라고 함
- diskette(플로피 디스크)
- 1장짜리 disk, 얇게 만든다. 휴대성 강조
- 300rpm
- high-capacity disk system(하드디스크)
- 여러장의 hard한 disk. 대용량
- 고속회전(3000-4000rpm)
Compact Disk
- 반사체(reflective material)위에 laser로 정보를 새긴 disk(diameter:12cm)
- 특징 : track이 나선형으로 오직 하나, 2kb sector
- 회전 속도가 가변 : 200-530rpm
- 용량은 보통 650MB, 700MB
- 종류로는 아래와 같음
TAPE 저장 장치
- segments : marked by formmatting
- Tracks : parallel
- 대용량 저장에 가장 싼 가격이라는 장점
- 특정한 위치를 찾으려면 시간이 걸린다는 단점(sequantial access)
- 대부분 back-up용
USB
- 컴퓨터와 주변 기기를 연결하는데 쓰이는 입출력 표준의 하나
- 읽기 속도가 빠르며 하드디스크보다 충격에 강하다는 장점
- 블록 단위 쓰기 읽기 가능, 덮어쓰거나 지우려면 모든 블록을 지워야 하며 수명이 짧다는 단점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