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할 기술 정리DB설계MVC 설계수정부가기능 구현IDE : 인텔리제이언어 : Java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MariaDB\-> MySQL 과 MariaDB 차이 : MySQL의 시스템을 기반으로 Fork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MySQL의 개선된 버전이라고 볼 수
AdminDashBoard.jsp : 관리자가 모든 종류의 동물을 확인 가능한 페이지AdminProduct.jsp : 특정 종류로 판매 등록 된 동물들을 확인가능한 페이지EditItemForm.jsp : 동물을 등록, 수정할 때 사용되는 페이지
우리조에서 차별화 기능 아이디어로 제출한 것은 다음과 같다.1\. JPetStore가 상점이므로 리뷰 게시판을 추가하자!2\. JPetStore가 펫샵의 기능을 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하여 양육일기를 작성할 수 있는 게시판을 구현하자.비로그인 사용
기존에 Synology Web Station API를 사용하여 Web Station에 동영상을 저장해놓고 해당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Spring으로 제작해놓았던 사이트에 Controller을 따로 추가하여 하나의 웹 앱에서 URL 매핑에 따라 아예 다른 기능을 수행
최근, 에브리 타임에서 아래와 같은 글이 있어서, 한번 같이 머리를 대고 으쌰으쌰 해보자는 생각으로 글에 달려 있는 오픈 카카오톡 방에 입장했다.게시글의 하단에는 대부분의 레퍼런스들은 MVC 패턴으로 작성된 상태인데, 자신의 프로젝트는 View가 빠져있다고 적혀져있었다
REST API에서 세션에 정보 저장 1편 보러가기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관련 연구를 진행하면서 고민했던 점이 하나 있다.이를 위한 기술로 Spring session을 이용할 수 있다고 한다. 원래 웹 서버 내에 존재하는 세션을 외부 저장소로 옮기는 것이다. 이 때 외
최근 펠월드가 핫해지면서 아무래도 친구들과 멀티 서버를 운영하고 싶은 사람들이 많을 것 같다!근데 문제가 있다면 아직 최적화가 덜 된 게임이라 그런지 메모리 누수 등 문제가 조금 있는 것 같다. 그래서 서버를 돌리더라도 안정적으로 돌리기 위해서는 자주 자주 재시작을 해
최근에 학부 1학년 수업에서 팀 단위로 파이썬 프로젝트를 기말 평가로 진행을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제가 멘토? 까지는 아니더라도 좋은 성적을 받고 싶어하는 지인에게 만들어준 간단한 쇼핑몰 웹 앱 입니다.이 게시글을 읽는 분들에게 말씀드리자면 전 어떤 기술적인 부분들을
서론 > 최근에 스프링 부트가 아닌 Spring으로 RESTFul API를 제작하는 와중에 Spring session을 적용하다가 한글로 된 관련 문서가 잘 보이지 않아 적게 되었습니다. 본 게시글은 spring-session-jdbc를 적용하는 것을 기준으로 합니다
Springboot가 아니라 서럽다ㅏㅏㅏㅏㅏSpring 5.3.x에서 API 개발 중인데, Notion으로 명세하기보다는 테스트도 되는 Swagger를 꼭 쓰고 싶었다.현재 하고있는 프로젝트가 학부 4학년 시절 했던 프로젝트를 재공학하는 과정인데 그 당시에도 Node.
나는 Spring 5.3.x 버전을 사용중이고 그에 맞게 Security도 5.4.2 버전을 사용했다. 더 상위 버전을 사용해도 되는 것으로 알고는 있다.Security 설정이 굉장히 복잡해 보이지만, 현재는 MVC가 아니라 API를 제공하는 것이므로 csrf, hea
먼저 Spring security가 적용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1)편을 읽고 오는 것을 추천드립니다.Security에서 FormLogin을 비활성화 했으므로 우리는 시큐리티 필터를 통해 인증 프로세스를 진행해야한다. 다른 블로그에서는 시큐리티의 원리와
최근에 Spring으로 API를 완성하고 프론트엔드와 협업하는 과정에서, Postman에서는 잘 작동하는 API가 여러가지 문제에 직면했다.아무래도 다들 많이 겪는 문제이기도 하고, 관련 내용으로 포스팅을 하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이번 포스팅에서 다룰 문제는
Spring session을 사용한 이유는 로드 밸런싱을 위해서 여러 개의 백엔드 컨테이너를 띄웠는데, 각각의 컨테이너 별로 세션을 가지고 있으면, 로드 밸런싱을 최초에 접속한 컨테이너로 사용자가 계속 접근하도록 설정을 해야한다. 이것은 Sticky session 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