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spring 백엔드 개발에는 기본적으로 필요한 회원가입과 CRUD 등 동작이 있다고 생각한다.그래서 그에 따라 필수적인 동작을 기본적으로 가진 프로젝트의 틀을 구성하고 이것을 재사용하는 방식으로 서브 프로젝트들을 진행해 보려고 한다!
오늘은 이전부터 꼭 완성해보고 싶었던 카카오톡 인앱 로그인과 회원가입을 수행해보려고 합니다.
백엔드 파트를 맡아서 진행하면 다양한 작업 중에서도 가장 어렵다고 느껴지는게 바로 네트워크 관련하여 통신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였다.그리고 오늘은 외부 접속을 위한 방법을 정리해보았다!
카카오 로그인에 대한 외부접속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정리하였습니다!
엔티티매니저를 통해서 DB의 내용을 가져오는 findAll(), findById() 등 find 메소드는 반환 값을 특정 엔티티로 표현하면, 해당 값이 없는 경우에는 null을 반환하여 오류가 발생하게 됩니다.
몇일을 붙잡혀 있었던 작업이 드디어 끝났다!!빠르게 3일이내로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생각보다 오류가 많이 발생하다보니, 시간을 오래 사용하게 된 것 같다.로그인 url이 보이는 화면 진입해당 url 클릭시, 카카오 로그인 화면에 진입로그인이 되면, 해당 값
JWT를 이용해서 어플 내부의 회원가입을 구현해보았습니다!
서버와 프론트엔드에서 통신을 하다보니, 어떤 오류를 어떤 방식으로 처리할지가 성공과 실패인 200, 400 뿐만 아니라 다양한 숫자로 표현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또한, 지정된 규칙 외에도 각 프로젝트에서 추가적으로 오류 코드를 규칙을 생성해서 사용한다는 것을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