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형은 대입하거나, 변수를 만들때 중요하게 사용된다.
그 종류에는 기초자료형과 참조자료형이 있다.
여기서 기초자료형은 아래와 같이 일반적인 변수의 형태를 나타낸다.
동 자료형의 종류와 용량은 다음과 같다.
- byte : 1byte > 8bit
- short : 2byte > 16bit
- int : 4byte > 32bit
- long : 8byte > 64bit
- float : 4byte > 32bit
- double : 8byte > 64bit
- boolean : 1byte > 8bit
- character : 2byte > 16bit
이 용량이 중요한 것은 선언한 변수형태의 용량보다 넣으려는 값의 용량이 더 크면, 대입이 불가능하다.
예를들어
int a = 3.14; 는 오류를 발생시킨다.
int a 는 4byte이고 실수인 3.14는 double형태로 8byte이기 때문이다.
참조자료형은 객체를 의미하는데, 이는 데이터가 배치된 위치를 나타낸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쓰는 수는 10진법에 의한것이지만,
컴퓨터는 1과 0으로 이루어진 2진법을 사용한다.
이 말은 숫자 25를 넣더라도, 이것을 온전히 알아듣지 못하고,
이를 2진수로 변경하여 입력한다는 것이다.
10진수는
1,2,3,4,5,6,7,8,9,10 ~
2진수는
0,1,10,11,100,101,110,111,1000,1001,1010,1011,1100,1101~
으로 진행되어
10진수>2진수
0>0
1>2
2>10
3>11
4>100
5>101
...
으로 결정된다.
즉 25는 11001로 컴퓨터는 저장한다.
또한 이는 정수 형태로 총 4byte(32bit)이기때문에
0000...0001101 >> 총 32자리로 저장된다.
먼저 문자와 문자열은 다르다.
문자는 하나의 Character라면, 문자열은 String이다.
그러므로 문자는 '' 작은 따옴표안에 넣고 'a' 로 표현되고
문자열은 "" 큰 따옴표안에 넣어 "apple"과 같이 표현된다.
이러한 문자열에는 특별한 기능을 가진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하는 이스케이프문자가 있는데, 다음과 같다.
- '\n' new line
- '\r' carriage return
- '\t' tap
- '\r\n' enter
반대로, 문자열의 의미를그대로 사용하기위한 방법도있다.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