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일 장수가 사과 상자를 포장하고 있습니다. 사과는 상태에 따라 1점부터 k점까지의 점수로 분류하며, k점이 최상품의 사과이고 1점이 최하품의 사과입니다. 사과 한 상자의 가격은 다음과 같이 결정됩니다.
한 상자에 사과를 m개씩 담아 포장합니다.
상자에 담긴 사과 중 가장 낮은 점수가 p (1 ≤ p ≤ k)점인 경우, 사과 한 상자의 가격은 p * m 입니다.
과일 장수가 가능한 많은 사과를 팔았을 때,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계산하고자 합니다.(사과는 상자 단위로만 판매하며, 남는 사과는 버립니다)
예를 들어, k = 3, m = 4, 사과 7개의 점수가 [1, 2, 3, 1, 2, 3, 1]이라면, 다음과 같이 [2, 3, 2, 3]으로 구성된 사과 상자 1개를 만들어 판매하여 최대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사과의 최대 점수 k, 한 상자에 들어가는 사과의 수 m, 사과들의 점수 score가 주어졌을 때, 과일 장수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k | m | score | result |
|---|---|---|---|
3 | 4 | [1, 2, 3, 1, 2, 3, 1] | 8 |
4 | 3 | [4, 1, 2, 2, 4, 4, 4, 4, 1, 2, 4, 2] | 33 |
입출력 예 #1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다음과 같이 사과 상자를 포장하여 모두 팔면 최대 이익을 낼 수 있습니다.
사과 상자 | 가격 |
|---|---|
[1, 1, 2] | 1 x 3 = 3 |
[2, 2, 2] | 2 x 3 = 6 |
[4, 4, 4] | 4 x 3 = 12 |
[4, 4, 4] | 4 x 3 = 12 |
따라서 (1 x 3 x 1) + (2 x 3 x 1) + (4 x 3 x 2) = 33을 return합니다.
이 문제는 최대값이 k이고 score의 점수를 m개씩 나눈 범위의 최솟값에 m을 곱하여 누적합계를 리턴하는 문제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은 알고리즘으로 문제를 해결하였습니다.
score의 값을 오름차순 정렬시킵니다.score의 맨 뒤 인덱스부터 m개씩 그룹화한 뒤 그룹의 맨 뒤 인덱스-m인덱스에 있는 값과 m을 곱하여 answer에 누적합니다.그럼 코드와 함께 더 자세한 풀이를 보도록 합시다.
public int solution(int k, int m, int[] score) {
int answer = 0;
문제를 풀기위한 값을 불러오고 누적합계를 구할 answer을 0으로 초기화시킵니다.
Arrays.sort(score);
score를 오름차순 정렬을 해줍니다.
이는 큰 값들을 더 쉽게 그룹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for ( int i = score.length-m; i >= 0; i-=m) {
answer += score[i]*m;
}
이 문제의 핵심 구간입니다.
문제는 주어진 배열, score을 m개수만큼 그룹화하라고 합니다. 그리고 해당 그룹에서의 최솟값을 m과 곱하여 누적하라고 지시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미 앞에서 오름차순 정렬을 완료하였습니다.
그렇다면 배열의 맨 뒤부터 m개수만큼 잘랐다고 할 때, 그룹의 맨 앞 수가 최솟값이 되겠지요?
따라서 인덱스는 뒤에서부터 시작하여 score.length-m부터 시작합니다. score.length-m은 맨 뒤 그룹의 최솟값이 되겠습니다.
이 때, m개수만큼 그룹화를 하였으니 인덱스인 i는 for문이 한 번 돌 때마다 m만큼 빼주면 됩니다.
문제에서 7같이 4로 나누어지지 않는 배열 인덱스도 있었는데 이 때, 앞의 3개는 무시하였으므로 위의 알고리즘이 이 조건도 만족하겠군요.
return answer;
이렇게 구한 answer값을 리턴하여 문제를 해결합니다.
import java.util.Arrays;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k, int m, int[] score) {
int answer = 0;
Arrays.sort(score);
for ( int i = score.length-m; i >= 0; i-=m) {
answer += score[i]*m;
}
return answer;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