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remote 명령어 알아보기

Haeun Noh·2023년 8월 24일
0

Git & Github

목록 보기
3/8
post-thumbnail

0824


로컬에서 깃허브로 옮기려면 옮길 깃허브 주소가 있어야합니다.
그러한 주소를 등록해주기 위해 우리는 remote라는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1. 깃허브 주소 등록하기 (remote add)

git remote add 변수명 주소
  • remote : 난 주소를 연결시킬거야
  • add : 로컬에 추가해줘
  • 변수명 : 이 변수에 들어있는
  • 주소 : 깃허브 주소를

주소가 변수에 잘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우리는 pushpull을 할 수 있게 되었죠!



2. 깃허브 주소 삭제하기 (remote remove)

git remote remove 변수명
  • remove : 지워줘
  • 변수명 : 이 변수에 들어있는 주소를


3. remote 변수명 규칙 (origin, upstream)

변수명에도 규칙이 있습니다.
굳이 따라가지 않아도 상관은 없지만 의미를 전달할 때는 다들 사용하는 변수를 쓰는 것이 좋겠죠?

  • origin : 본인 리포지토리의 주소
  • upstream : 다른 사람의 리포지토리의 주소
    • ex. organization의 원본 리포지토리


4. 현재 연결된 주소 확인하기 (remote -v)

지금까지의 모든 것을 보여준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git status와 비슷하다고도 할 수 있겠네요.

주로 오타를 냈는지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오타없이 정확한 주소가 등록이 되었네요!



연결 끝!
주소를 알려줬으니 연결다리는 생겼습니다. 이제 push를 할 수 있겠네요!
push, pull 및 기본 명령어를 알고 싶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profile
Tistory로 옮기게 되었습니다. @haeunnohh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