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정리 (컴퓨터일반 교재)

thousand_yj·2023년 6월 19일
0

CS

목록 보기
3/5

Part 7

Lesson 80. TCP/IP 프로토콜

인터넷

  • 정의
    : 유닉스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여러 개의 네트워크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하나의 거대한 네트워크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호 접속하는 네트워크

  • 인터넷 접속 방식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 정의

    • 다른 기종 간의 컴퓨터 통신 및 자원공유를 위한 프로토콜. 인터넷에서 일반적인 프로토콜
    • 유닉스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시스템에 직접 액세스할 수 있는 기초적인 네트워크 소프트웨어로 구성
    • TCP/IP 프로토콜은 TCP, IP, UDP, ARP, ICMP, RARP 의 프로토콜을 모두 포함
  • TCP

    • TCP : 신뢰성, 연결지향형 프로토콜. 데이터 송수신 시작 전 3-way 핸드셰이킹 사용, 흐름제어를 위해 슬라이딩 윈도 사용
    • UDP : 전송계층 프로토콜, 신뢰성보다는 빠른 속도나 저비용의 전송에 적합.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에 주로 사용
  • IP
    : 데이터그램을 기반으로 비신뢰성, 비연결성 서비스 제공
    한 대의 컴퓨터가 동시에 여러 개의 주소 사용 가능
    0~255 범위의 숫자로 이루어진 4개의 필드로 구성 (클래스 A~E로 구분. 모든 범위를 다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님. 클래스 E같은 경우 실험용으로 예약해둔 주소)

    • 클래스 A : 0.0.0.0 ~ 127.255.255.255, 큰 규모의 호스트를 갖는 기관에서 사용
    • 클래스 B : 128.0.0.0 ~ 191.255.255.255
    • 클래스 C : 192.0.0.0 ~ 223.255.255.255, 네트워크마다 254개까지 호스트를 수용할 수 있어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에서 사용
    • 클래스 D : 224.0.0.0 ~ 239.255.255.255, 전체 주소가 멀티캐스트용으로 사용
    • 클래스 E : 240.0.0.0 ~ 255.255.255.255, 추후 사용을 위해 예약된 주소
  • IPv6
    : IPv4의 헤더길이, 헤더 체크섬, 식별자, 플래그, 분할 오프셋, 총 5가지 필드 제거.
    헤더 길이가 40byte로 고정
    기존 32bit 주소공간(IPv4) -> 128bit 주소공간 확장

  • IPv4 vs IPv6 비교

Lesson 83. 인터넷 접속 서비스

인터넷 서비스

  1. 월드 와이드 웹(WWW)
    :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 사용
profile
함께 일하고 싶은 개발자가 되기 위해 노력합니다. 코딩테스트 관련 공부 및 이야기는 티스토리에도 업로드되어 있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