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m>사용자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태그이다.
대표적으로 로그인, 로그아웃 등에 사용이 된다.
<form action="전송할 서버 주소" method="전송할 방식">
<!-- label, input, textarea, button 등이 들어감 -->
</form>
action: <form>내용이 전송될 서버의 주소를 기입method: <form>내용이 전송할 때 사용할 방식을 기입<input />사용자에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사용하는 태그이다. ( 한 줄 )
<input type="" placeholder="" id="" name="" value="" />
type: 사용 형태를 기입 ( text, radio, file 등 )placeholder: 기본 텍스트를 기입 ( 일반적 텍스트와 다름 )id: <label>과 연결시키기 위해 같은 값을 기입해야 함name: 서버에서 받을 이름을 지정value: 해당 <input>의 값<textarea>사용자에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사용하는 태그이다. ( 여러 줄 )
<textarea type="" placeholder="" id="" name="" value="" rows="10" cols="20" />
rows: 현재 폰트 사이트에 맞춰서 세로로 몇 글자 넣을지 지정cols: 현재 폰트 사이트에 맞춰서 가로로 몇 글자 넣을지 지정<label><input> 이나 <textarea>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려주는 태그이다.
<label for="id">아이디</label>
<input type="text" id="id" />
<button>직접 누를 수 있는 버튼이다.
<button type="">click me</button>
type: 버튼의 타입을 결정함 ( button, submit, reset 등 )<select>와 <option><fieldset>과 <legend><fieldset>은 여러 <input />을 하나로 묶는 태그이고,
<legend>는 <fieldset>에 대한 설명을 적는 태그이다.
<form>
<fieldset>
<legend>폼 그룹</legend>
<input type="text" /><br />
<input type="checkbox" />
</fieldset>
</form>
폼 그룹
<u> vs <ins>둘 다 컨텐츠에 밑줄을 긋는 태그이다.
<u>: 의미없음<ins>: 새로 추가된 내용을 의미함u
ins
<map>과 <area><bdo>와 <bdi>텍스트의 방향을 결정하는 태그이다.
<bdo>는 자동 결정, <bdi>는 직접 입력해줘야 한다.
<bdo>자동 결정</bdo>
<bdi dir="ltr">좌 -> 우</bdi>
<bdi dir="rtl">우 -> 좌</bdi>
<!--
display변경하고 width를 부여해야 제대로 확인이 가능함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00px; background-color: black; color: white;
-->
자동 결정
좌 -> 우
우 -> 좌
<dl>, <dt>, <dd><dl>
<dt>용어</dt>
<dd>용어에 대한 설명</dd>
</dl>
용어
용어에 대한 설명
<meter>과 <progress><meter>는 단순한 수치를 의미하고, <progress>는 진행 정도를 의미한다.
<meter value="50" min="0" max="100"></meter>
<progress value="50" max="100"></progress>
<video>영상을 보여주기 위한 태그이다.
<video src="비디오이름.확장자" poster="포스터이름.확장자" autoplay controls loop>
비디오 재생 불가능할 경우 보여줄 내용
</video>
src: 비디오 파일poster: 비디오 파일을 불러오기전 보여줄 이미지 파일autoplay: 자동 재생controls: 비디오 컨트롤바 제공loop: 반복 재생muted: 음소거<audio><audio src="오디오.확장자" autoplay controls loop volume>
오디오 재생 불가능할 경우 보여줄 내용
</audio>
<iframe>비디오, 오디오를 제외한 다른 것들을 넣을 때 사용하는 태그이다.
<iframe width="" height="" src="웹문서 주소">
아이프레임을 지원하지 않을 경우 표시할 내용
</ifr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