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Computing, On-premise & Off-premise

땡칠·2022년 6월 30일
0

Infra

목록 보기
1/1
post-thumbnail

이것을 보다가 갑자기 정리하고 싶어져서 정리해본다.

On-premise

소프트웨어를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서버에 설치하여 운영하는 방식
주로 이런 기업들은 전산실을 가지고 있고, 이 전산실을 관리할 직원과 비용이 필요하다.

Off-premise, Cloud-based Computing

온프레미스와 반댓말이다.
소프트웨어를 클라우드 기반의 원격 환경에 설치해 운영한다.
전산실 운영 비용 대신 클라우드 서비스 구독료가 발생하고, Scalability 관점에서 이득이 있을 수 있다.

비용


구글을 찾아보니 이런 그림도 있다. 실제로는 이렇게 극적으로 차이나지는 않을 것 같다.

On-premise 방식으로 소프트웨어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빙산 밑의 수많은 부가 비용과 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클라우드 컴퓨팅을 사용하면, 운영비 외 부가 요소를 단순 비용(구독료)으로 처리하고, 전체 비용도 감소시킬 수 있다.

클라우드 모델

Azure Cloud Models


그림이 깔끔해서 참고했다.
위에서 얘기한 On-premise 모델이 있다. 비교 대상으로 넣어놓은 것 같다.

IaaS

Infrasturcture as a service
흔히 Infra (= 기반 시설) 라고 하는 것을 제공해준다.
하드웨어 부분까지만 클라우드 서비스가 제공하고 관리하겠다는 이야기다.
OS를 포함한 상위 부분들은 사용자가 관리한다.
원격지에서 운영되는 VM이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다.
과거에 Vmware Workstation Server에 접근해봤던 기억이 난다.

PaaS

Platform as a service
OS까지 클라우드 서비스가 관리한다.
AWS EC2 같은 컴퓨팅 인스턴스 서비스는 사용자가 직접 설치하지 않고, 선택만 한다.
따라서 AWS EC2PaaS 에 해당한다.

SaaS

Software as a service
Application 까지 클라우드 서비스가 관리한다.
사용자는 계정을 만들고 사용하기만 한다. 우리 주변에 있는 각종 스토리지 서비스(Google Drive, DropBox)나 Office365 같은 것들이 이 경우에 해당한다.

Examples

profile
자신을 찾아 개선하는 중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