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경제와 데이터 플랫폼

조영혜·2021년 12월 24일
0

빅데이터

  1. 기업 경영와 데이터 자산
  • 눈으로 관찰할 수 있는 모든 것은 데이터
    과거 - 설치용 sw, 1세대 검색 포털
    현재 - 구독 서비스, 관심사 반영 검색
    (명시적 피드백 ex)별점 리뷰 등, 묵시적 피드백 ex)사용시간, 구매금액 등 )
    각 기업의 목표와 피드백 연관해서 활용하는 게 좋음.
    회원정보를 활용한 비지니스 실행(ex)광고)
    처리+의사결정 자동화 - 과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습하여 상황에 따라 올바른 의사 결정(SW중심)
  1. 데이터 거래 생태계
  • 원천개발 : 어떤 데이터를 원천으로 개발할 것인지 의사 결정.
    공공데이터 : 공공데이터 포털, 정부부처별 데이터 제공 포털, 국가통계포털 등 <- 프로젝트할 때 참고하면 좋음
    접근 용이, =경쟁(카피)노출, 사업화 어려움 -> 파생 데이터 생산 또는 분석결과 제공을 통해 차별 확보 중요.
    데이터 바우처 사업 - https://www.kdata.or.kr/
    민간데이터 : 데이터 수요기업 selectstar testmorks crowdworks
  1. 데이터 가공 : 데이터 분석을 위한 잔처리.
  • 로그 수준의 데이터를 가공을 통해 상품으로 만드는 과정
    1차 데이터 - 회원가입정보, 결제이력, 접속 이력 등 로그 단위의 데이터. -> 높은 자유도, 개인정보보호 이슈 가능성.
    2차 데이터 - 원하는 형태로 변형과 파생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분석 용이.
    3차 데이터 - 연도별 구매 통계, 분기별 가입회원 수 -> 지표화, 보고서 작업에 바로 활용 가능, 새로운 관점의 분석 불가.

데이터 거래 플랫폼 등장 배경
개인 입장: 내가 필요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업체 알기 어려움. 표준 거래 절차, 적정 가격 판단 불가.
기업 입장: 디지털 서비스 기업의 새로운 수익원 필요.
데이터 거래사 : 데이터 거래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데이터 표준화, 거래알선, 중개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전문가.
마이데이터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