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왜 SQL을 배워야 할까?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이 이루어지면서 많은 기업에서 데이터를 활용하게 되었고, 이러한 데이터를 다루는 기술력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2. SQL이란?
데이터 종류
정형 데이터
: 틀이 잡혀있고 체계화된 데이터
(ex. 금융 업무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비정형 데이터
: 틀이 잡혀있지 않고 사전 정의가 되지 않은 데이터
(ex. 텍스트,이미지,음원 등의 별도의 처리가 필요한 방대한 양의 데이터)

데이터
는 기록 정보이고, 이러한 데이터를 모아둔 것이 데이터베이스
이다.
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인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와 통신하기 위한 언어가 SQL
이다.
SQL 특징
- 배우기 쉽다.
: 구조와 문법 페계가 직관적이며 익히기 쉽다.
- 절차가 없는 비절차적 언어다.
: 실행 순서와 관계없이 처리 내용을 기술한다.
- DB내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다.
: 데이터를 정의, 검색, 조작할 수 있다.
- 표준 언어이다.
: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할 수 있다.
SQL 명령어 종류

3. SQL 용어와 구조
필드
: 속성값을 부여한 데이터 (ex. 수치, 문자, 날짜)

⭐️ 가변 문자열이 자원을 덜 차지하여 실무에서는 보통 CHAR보다 VARCHAR2를 많이 사용한다.
레코드
: 연관된 필드의 모음

테이블
: 연관된 레코드의 모음
- 행(속성) : 레코드라고 표현하기도 하며 각 항목의 개별 값이 저장된다.
- 열(항목) : 테이블을 구성하는 각각의 정보로 고유한 데이터 형식이 지정 된다.

정보
: 유무형의 데이터를 통계와 분석 작업을 거쳐 사용자가 필요한 형태로 만든 것

인덱스
: 데이터베이스를 빠르게 조작하기 위한 색인표나 태그

기본키와 외래키
데이터베이스에서 키는 무언가 식별하는 고유한 식별자
역할을 한다.
- 키 종류는 기본키, 슈퍼키, 후보키, 대체키, 외래키 등이 있다.
1. 기본키 : 하나의 키로 최소성과 유일성을 만족하는 대상
- 테이블에서 오직 1개만 지정 가능
- 기본키는 테이블 안에서 유일하게 각 행동을 구별할 수 있도록 쓰임
- 기본키는 NULL 값과 중복을 허락하지 않음 ex. 주민번호
2. 외래키 : 테이블과 테이블 간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서로의 관계를 연결
- 참조 될 열의 값은 테이블에서 기본키로 설정되어 있어야 함
- 외래키는 참조되는 테이블의 기본키와 동일한 키 속성을 가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