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넓은 의미로 웹, 앱 등을 모두 포함하기도 함. )
👉🏻 웹이 브라우저에 보여지는 과정
1. 브라우저가 웹 프로그램을 전달해주는 웹서버에게 요청을 한다.
2. 웹서버에서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개발한) 웹을 전달한다.
3. 브라우저에서는 다운받은 웹을 실행시킨다.
대표적으로
aos(android)와ios로 나뉜다.
백엔드는 서비스를 하는데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공해준다.
ex) 이미지, 동영상, 사용자 로그
- 데이터 베이스, API 서버, 파일 스토리지(이미지, 음악), 캐시 서버(자주 사용하는 데이터)
- 서버 스케일링: 트래픽이 높아져서 요청에 대한 응답이 밀리는 병목현상 발생
-> 해결: 스케일 업(성능 향상), 스케일 아웃(수 증가)
서버(웹서버, 데이터베이스, API 서버) 전용 컴퓨터를 살 필요가 없어졌다.
로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들을 분석하고 프로그램의 상태를 확인한다.
로그 데이터는 크게 클라이언트 로그와 서버 로그로 나뉜다.
: 유저가 어디서 얼마나 머물렀고, 어디에 관심을 가지는지에 대한 전반적인 데이터.
- 유저의 행동(스크롤, 머무름)을 분석해서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IT 제품(웹,앱)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한다.
Google Analytics,Facebook Pixel등을 통해 유저 행동을 분석한다.- 서비스 규모가 커져서 자세한 분석과 커스터마이징이 필요해지는 경우에는 데이터 엔지니어의 도움을 받는다.
: 모니터링을 하기 위한 서버의 데이터
모니터링: 서버 컴퓨터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
- 요청 시간, IP 자원 등 복합적인 내용들을 포함함.
- 시간당 컴퓨터 하드웨어(CPU, 메모리)의 상태, 클라이언트의 요청 횟수, 요청 처리속도 등을 복합적으로 파악해서 서버의 상태 점검.
출처: https://www.grabbing.me/3a44d95ce316417ab182370d09fd2b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