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 = ### 상황에 따라 변할수 있는 값
✓ 'Console.log' 는 값만 볼수 있고 함수 밖으로 출력이 되지않는다. 이럴때는 ' return ' 을 사용해야한다.
ex) 학생이면서, 남자✓ true && true = true , true && false = false , false && false = false둘다 true 일때만 true 가 나온다.ex) 학생이거나, 남자✓ true || true = true , true ||
arguments : 찾고자 하는 문자열return valus : 처음으로 일치하는 index, 찾고자 하는 문자열이 없으면 -1lastlndexOf는 문자열 뒤에서 부터 찾음!arguments : 분리 기준이 될 문자열return value : 분리된 문자열이 포함된
//"sum 과 숫자(n)의 합"을 "sum에 대입"sum = sum + n;//조건 :숫자(n)는 2부터 시작한다let n = 2;숫자(n)가 4가 될때까지 반복한다.n <= 4;숫자(n)는 1씩 증가한다.n = n + 1;
배열 = 순서가 있는값. - index 와 element • index 는 순서 이며, 1부터가 아닌 0부터 번호를 매김 • element 는 값 을 의미 •ls
✓command + space bar →terminal 검색 → git 을 치고 설치.\-여러사람들이 협업을 프로젝트를 할때, 파일이 많이 변경되는 변경사항을 확인하고자 사용한다.fork - repository 를 자신의 계정으로 복사하는 과정clone - remot
Scope = 변수 접근 규칙에 따른 유효 범위 - 잘 작동하지 않는 코드를 파악하고 코드를 잘 작성하기 위해! Rule 1 : Local Scope vs. Global Scope 변수 firstName에 접근할 수 있는 범위가 존재한다. Local Scope 안쪽
Closure : 외부함수의 변수에 접근할 수 있는 내부 함수